호로투 고분군

한자 葫蘆套 古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중국 길림성 임강시 위사하향 호로투촌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고분군
양식 기단 돌무지무덤|방단 적석묘
조성 시기/일시 고구려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62년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4년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4년 7월 11일
소재지 중국 길림성 임강시 위사하향 호로투촌
정의

길림성(吉林省) 임강시(臨江市) 위사하향(葦沙河鄕) 호로투촌(葫蘆套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군.

위치

호로투 고분군은 길림성 임강시 위사하향 호로투촌 동쪽에 있다. 동쪽과 서쪽은 강과 접해 있고, 남쪽으로 약 1㎞ 떨어진 지점에는 백마낭둔(白馬浪屯)이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운봉댐이 건설되기 전인 1962년 12월 길림성 박물관과 집안현 박물관은 이건재(李健才)·이전복(李殿福)·조벽인(趙壁人) 등으로 구성된 연구팀을 조직하고, 댐 건설로 수몰될 고분군 가운데 하나인 호로투 고분군에 대해 조사하였다.

1984년에는 혼강시 문물보사대(文物普査隊)가 조사하였다. 2004년 7월 11일에는 길림성장백산 문화 연구회와 백산시 문관판(文管辦)·집안시 박물관이 압록강 상류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파견한 장복유(張福有)·장전갑(張殿甲)·지용(遲勇)·손인걸(孫仁傑) 등에 의해 조사가 이루어졌다.

형태

원래 30여 기의 고분이 있었고, 1958년 땅을 개간하면서 1기가 파괴되었다. 고분 유형은 기단 돌무지무덤[방단 적석묘]이며, 가장 큰 고분은 한 변의 길이가 10m에 이른다.

출토 유물

호로투 고분군에서 철제 보습, 철제 가위, 철제 화살촉, 철제 도끼 등이 출토되었는데,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현황

2013년 현재 호로투 고분군은 운봉댐 건설로 수몰되었고, 겨울과 봄 등 갈수기 때 일부 고분이 드러난다.

의의와 평가

호로투 고분군은 고분의 형태로 볼 때 고구려 시대 고분군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吉林省文物志 編修委員會, 『渾江市文物志』(1984)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 吉林分冊(中國地圖出版社, 1993)
  • 孫仁傑·遲勇·張殿甲, 「鴨綠江上游右岸考古調査」(『東北史地』2004-5, 2004)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