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혈 광복단

한자 鐵血 光復團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길림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반일 민족운동 단체
설립자 윤준희|임국정|최이붕 등
설립 시기/일시 1918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20년 1월
최초 설립지 간도
정의

1918년 북간도 지역의 광복단과 연해주의 철혈단이 통합하여 조직한 재만 한인 민족 운동 단체.

개설

철혈 광복단은 1910년대 북간도에서 조직된 비밀결사단체인 광복단과 러시아연해주에서 조직된 철혈단이 통합하여 결성된 단체로 1918년경에 조직되었다. 광복단철혈단은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종결되면서 국내외적으로 독립운동의 기운이 고조되자 활발한 의열투쟁을 전개하기 위해 결성되었다. 그러나 철혈 광복단의 결성시기가 1914년이라는 설도 있다.

설립 목적

철혈 광복단은 일제 강점기 의열 투쟁을 전개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철혈 광복단은 결성 이후 한인 사회당, 전로한족회중앙총회, 대한 국민 의회, 북간도 국민회 등 항일 단체에 활동하는 지도자를 배출하였다. 특히 1920년 1월 명동촌 어랑리 어구에서 조선은행권 15만원을 탈취하여 독립군자금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의의와 평가

철혈 광복단은 1920년대 재만 한인 사회 민족운동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운동사사전』(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4)
  • 유준기,「철혈 광복단의 의열투쟁과 서대문감옥」(서대문형무소역사관 개관 6주년 학술심포지움, 2004)
  • 김춘선,「15만원 탈취사건연구」(『용정 3.13반일운동 80주년 기념논문집』, 1999)
  • 『선봉』(1935. 2. 4)
  • 「露支 각 방면에 있어서 조선인 정황 보고의 건」(『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14』 機密公 제43 1923년 4월 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haf&setId=357990&position=0)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