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中西 靑年會 聯盟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흑룡강성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반일 청년단체 |
|---|---|
| 설립자 | 최종혁 등 |
| 설립 시기/일시 | 1925년 9월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25년 11월 16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26년 5월 10일 |
| 최초 설립지 | 중동선 철령하 |
1925년 9월 중동철도연선(中東鐵道沿線) 오주현성(烏珠縣城) 동빈현(東賓縣)의 대성학교에서 창립된 반일 단체.
조선 민족 해방 운동을 위해 청년들을 단결시키고 조직을 통일하고자 하는 활동을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이다.
1925년 9월 중서 청년회 연맹 창립총회에서, 미조직 지구에 대하여 조속히 청년회를 조직하도록 서무부에 일임하며, 북만 청년 총동맹에 가입하고 각 청년회에 대하여 본 연맹 조직의 세포가 되도록 권유할 것을 결정하였다. 아울러 주요 간부로는 집행위원장 최종혁(서무겸임), 교화부위원 김우식, 이철, 경리부 위원 장세훈, 소년부 위원 김성철을 선출하였다. .
또한 중서 청년회 연맹은 창립 후 다른 반일 단체인 ‘대진 청년회’와 연합하여 1925년 11월 16일 철령하에서 각지 청년 단체의 통일을 촉구하는 대회를 열고 ‘북만 노력 청년 총동맹’을 창설하였다.
1926년 5월 10일 아성현개성 학교에서 열린 ‘북만 청년 총동맹’ 창립대회에 참가하여 ‘아성 청년회’, ‘보라 청년회’, ‘대동 청년회’, ‘동일 청년회’, ‘중동철도연선 조선인청년연합회’, ‘신성 청년회’, ‘구월 청년회’ 등 여러 반일단체들과 함께 ‘북만 청년 총동맹’에 가담하였다.
중서 청년회 연맹은 창립된 이래 줄곧 청년들을 단결시키고, 조직을 통일시키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이철, 장세훈, 김성철을 비롯한 많은 청년들이 반일운동의 토대를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