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大同 靑年會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흑룡강성 하얼빈시 아성시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반일청년단체 |
|---|---|
| 설립자 | 조선인 청년 |
| 설립 시기/일시 | 1925년~1926년경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26년 5월 10일 |
| 최초 설립지 | 흑룡강성 아성현 |
1925년~1926년경 흑룡강성 아성현 일대에서 결성된 반일 청년 단체.
1922년부터 1926년 사이 만주지역에서는 공산주의자들과 진보적인 청년학생들의 적극적인 노력 하에 조선인 집거지역에는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신속히 전파되었다. 따라서 청년운동도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각지에는 청년회, 친목회, 학우회, 수양회, 야학회, 구락부, 운동부 등 사회주의 청년혁명단체들이 연이어 결성되었다.
대동 청년회는 이 무렵 흑룡강성 아성현 일대에서 조직된 청년단체이다. 대동 청년회의 활동에 대해서는 특별히 알려진 것은 없으나, 1926년 5월 10일 아성현개성학교(開城學校)에서 열린 “북만(조선인) 청년 총동맹” 창립대회에 참가하였다. 여기에 참여한 반일단체로는 중서청년회연맹(中西靑年會聯盟), 아성청년회, 보라청년회(普羅靑年會), 동일청년회, 중동철도연선 조선인 청년연합회, 신성청년회(新星靑年會), 구월청년회(九月靑年會) 등이 있다.
북만(조선인) 청년 총동맹에서는 『농군』이라는 잡지를 간행하면서 북만지역 청년단체들에게 “새 사회를 건설하는 생력군을 양성하자”, “무산계급의 이익과 해방사업을 위하여 분투하자”라고 주장하였다. 북만(조선인) 청년 총동맹을 통해 볼 때 대동 청년회도 이와 비슷한 목적을 가지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