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昌東 小學 |
|---|---|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신아원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민족 교육 기관 |
|---|---|
| 설립자 | 이주 한인 |
| 개교 시기/일시 | 1910년대 초반 |
| 최초 설립지 | 안도현 신아원 |
1910년대 초반 안도현 신아원(新芽園)에서 이주 한인들이 설립한 민족 교육 기관.
교직원이나 재학생 수에 있어 일부 변화가 있었으나 커다란 차이는 없다. 다만 일제의 탄압과 경제적인 곤궁 등으로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성향은 점차 쇠퇴하는 분위기였다. 1915년 모든 한인학교에 필수과목으로 편성된 중국어는 이러한 사실을 잘 보여준다.
안도현 지역 민족 교육 기관은 항일의식 고취에 전력을 기울였다. 민족정체성 정립과 백절불굴의 저항정신을 일깨우려는 민족교육은 국어·역사·지리와 군사훈련에 버금가는 체육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배일사상을 고취시키는 창가교육은 이곳 교육활동을 그대로 보여준다.
창동 소학은 당시 널리 성행하던 창가를 교가로 활용하였다. 이 중 「의병대가」 가사는 다음과 같다.
1절
홍대장 가는 길에는 일월이 명랑한데 / 왜적군대 가는 길에는 눈과 비가 내린다.
(후렴) 에헹야 에헹야 에헹야 에헹야 / 왜적군대가 막 쓰러진다.
2절 오련발 탄환에는 군물이 돌고 / 화승대구심에는 내굴이 돈다.
3절 괴택이 원성댁 중대장님은 / 산고개 싸움에서 승리하였소
4절 도상리 김치갱 김도감님은 / 군량도감으로 당선되었다네
5절 왜적 놈이 게다짝을 물에 버리고 / 동래 부산 넘어가는 날은 언제나 될까
한편 대종교 계통 학교로서 단군영정을 봉안하고 주요 행사 때마다 참배하는 등 국조인 단군에 대한 예의를 다했다.
1914년 당시 창동 소학의 교장은 김창동, 교원은 강오였다. 재학생은 30명으로 개인 능력별 수업을 진행하였다. 주요 교과목은 역사·지리·한글·작문·산술·한문·작문··창가·체조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