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恩養 小學校 |
|---|---|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유하현 삼원포 대화사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개신교 계통 민족 교육 기관 |
|---|---|
| 설립자 | 방기전|안동식|이호림|김세택 |
| 개교 시기/일시 | 1912년 |
| 폐교 시기/일시 | 1920년 9월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경신대토벌 |
| 최초 설립지 | 유하현 삼원포 대화사 |
1912년 서간도 유하현 대화사에 설립된 개신교계 민족 교육 기관.
국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 일환으로 신민회의 이시영·이회영 일가와 안동 혁신유림 이상룡·김대략·김동삼 등은 유하현으로 망명하였다.
이들은 이주 한인 권익옹호와 대동단결을 위한 자치단체인 경학사를 조직했다. 이어 독립군 양성을 위한 신흥강습소를 설립하는 등 중장기적인 독립전쟁을 실천에 옮겼다. 1912년 흉년으로 이주 한인들은 경제적인 곤경에 처하여 자제들 교육을 방기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실을 타개하고자 삼원 포교회방기전 장로는 안동식·이호림·김세택 등과 상의하여 학교설립기성회를 조직한 후 교회 내에 은양학교를 설립했다. 목적은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한편 독립군 양성을 위한 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은양 소학교는 그 설립과 동시에 교육 내실화에 박차를 가하였다. 1916년 학교 증축과 동시에 운동장을 만들어 상무정신을 고취시키기 위한 체육교육을 강화하였다. 축구와 군사훈련은 물론 양편으로 조를 편성하여 고지 쟁탈전을 벌이는 등 실전과 같은 독립전쟁을 펼쳤다. 체육교사 이희로는 학생들과 함께 동고동락을 같이하는 열성을 보였다 학제도 6년 과정으로 편성하여 장차 한인사회를 이끌어갈 지도자를 양성하는데 노력을 기울였다. 교사들은 교재를 직접 만들어 민족의식을 일깨우는 동시에 항일의식을 고취시켰다. 국어·역사·지리·수신 교육 등을 통한 자긍심 고취는 항일의식을 북돋우는 계기였다.
은양 소학교는 개신교계 민족 교육 기관으로서 종교적인 색채를 강하게 드러내었다. 성경은 교과목 중 필수 과목이었으며 찬송가를 교가로 널리 애창하는 분위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