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松江河 學校 |
|---|---|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백산시 무송현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민족 교육 기관 |
|---|---|
| 설립자 | 이주 한인 |
| 개교 시기/일시 | 1910년대 초반 |
| 최초 설립지 | 무송현 송강하 |
1910년대 초반 무송현 송강하 지역에 이주·정착한 한인들 주도로 설립된 민족 교육 기관.
송강하 학교의 교육목표는 민지계발(民智啓發)과 독립전쟁을 수행하는 독립군 양성에 있었다. 체육시간이나 연합 대운동회에서는 실전을 방불케 하는 군사훈련과 각종 경기종목을 편성하였다. 한인사회 대동단결 모색과 시세 변화에 부응하려는 의도는 한글·역사·창가교육 강화로 귀결되었다. 중국의 동화정책에 맞서 민족정체성을 일깨우려는 목적도 내포하고 있었다.
송강하 학교는 교직원이나 재학생 숫자만이 부분적으로 변화되었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다만 일제의 탄압과 경제적인 곤궁 등으로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성향은 점차 쇠퇴하는 분위기였다. 1915년 모든 한인학교에 필수과목으로 편성된 중국어는 이러한 사실을 잘 보여준다.
무송현 지역 민족 교육 기관은 항일의식 고취에 전력을 기울였다. 민족정체성 정립과 백절불굴의 저항정신을 일깨우려는 민족교육은 국어·역사·지리와 군사훈련에 버금가는 체육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배일사상을 고취시키는 창가교육은 이곳 교육활동을 그대로 보여준다.
송강하 학교에 교가는 없었으나 당시 성행한 창가를 널리 애창하였다. 각종 학교행사나 체육시간에 애창된 「복수회포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복수회포가」
제1절 단군자손 우리 소년, 국치민욕(國恥民辱) 네 아느냐
부모쟝사(父母葬事) 할 곳 없고 자손까지 종 되엿다.
텬디(天地) 넓고 너르것만 의지할 곳 어대더냐
간 대마당 천대받고 까닭없이 구축되네
제2절 나라 없난 우리 동포, 사라잇기 붓그럽다
땀을 내고 피를 흘녀 나라 수치 싯처 놋코
뼈와 살은 거름되여 논과 밧에 유익되세
우리 목적 이것이니 잇지 말고 나아가세
제3절 부모친척 다 바리고 외국나온 소년들아
우리 원수 누구던냐 이를 갈고 분발하여
백두산에 칼을 갈고 두만강에 말을 먹여
앞으로 갓 하는 소레에 승전고를 둥둥 울녀
(후렴) 이젓나 이젓나 우리 원수가
합병한 수치를 네가 이젓나
자유와 독립을 다시 찻기는
우리 헌신함에 전혀 잇도다
조국을 빼앗긴 망국한과 실의를 노래하면서 조국 자유와 독립을 회복하는데 주저하지 말고 나아가 일제와 싸워서 이를 물리치자는 도전적인 용기와 기백을 보여주자는 의미심장한 가사이다. 당시 창가교육은 청소년들에게 백절불굴의 항일의식과 미래지향적인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1915년 당시 송강하 학교의 재학생은 20명에 불과한 소규모였다. 교사는 한인들의 의연금을 기반으로 마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