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하현 오도구진 대천안 소학교

한자 柳河縣 五道溝鎭 大泉眼 小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통화시 유하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학교
설립자 촌민위원회
개교 시기/일시 1966년
폐교 시기/일시 1998년 이후
최초 설립지 길림성 통화시 유하현 오도구진 대천안촌
정의

길림성 통화시 유하현 오도구진 대천안촌에 있던 조선족 소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유하현 오도구진 대천안 소학교는 민족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변천

유하현 오도구진 대천안 소학교는 1966년 7월에 설립되었다. 당시 교사는 초가집 두 칸뿐이고 학생 20여 명에 교원 1명이였다. 1967년 제1대 교장으로 손관일이 임명되고 촌에서 4칸짜리 초가집을 지어 4년제에 두 개 복식반을 꾸렸다. 1969년에 교원이 4명을 늘어났다. 1982년 촌민위원회에서 6칸의 기와집을 지었는데 당시 학생 58명, 교원 5명이었다.

한때 조선어 무용론의 영향으로 학생들이 한족 학교로 전학을 가게 되자 촌에서 교사를 팔고 한족 학교와 합병시켰다. 이에 따라 교원들이 흩어지게 되어 3개 반의 학생도 10여 명으로 줄어들었다.

1994년 향에서 교장을 파견하여 학교를 다시 세우고 교사를 되찾자 학생 수도 늘어났으며 한족 학교에 갔던 학생들도 점차 돌아왔다. 1998~2005년 사이에 폐교된 것으로 추정된다.

교육 활동

유하현 오도구진 대천안 소학교는 교수 질 제고에 노력하여 조선말을 하지 못하던 한인[조선족] 어린이들이 조선말을 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심 학교에서 조직하는 낭독대회, 수학경시대회 등에서 우수한 성적을 따내었다.

현황

유하현 오도구진 대천안 소학교의 교사 면적은 200㎡이며, 1998년 기준 유하현 오도구진 대천안 소학교에는 학생 24명, 교원 5명이 있었으며 조선어(한국어) 도서 312권, 중국어 도서 52권을 소장하고 있었다.

참고문헌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중국조선족학교현황지』(연변교육출판사, 2005)
  • 길림성교육정보(www.jledu.gov.cn)
  • 통화교육정보(www.jlthjy.com)
  • 유하현교육정보(www.lhxedu.com)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