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하구시 만룡향 조선족 소학교

한자 梅河口市 灣龍鄉 朝鮮族 小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통화시 매하구시 만룡향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개교 시기/일시 1938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9년
현 소재지 길림성 통화시 매하구시 만룡향
정의

길림성 매하구시 만룡향에 있던 조선족 소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매하구시 만룡향 조선족 소학교의 교육 목표는 지식과 체력을 갖춘 건강하고 씩씩한 민족 어린이를 키우는 것이다. 특히 민족 전통 미덕의 전승을 강조하였다.

변천

매하구시 만룡향 조선족 소학교는 1938년 설립되었다. 당시는 일제 강점기임에도 불구하고, 마을사람들은 조선인의 명맥을 잇고자 적극 지원하여 소학교를 세웠다. 당시 학교명은 만룡촌 조선인 초등학교였다. 초대 교장은 류청이었으며, 당시 학교 규모는 학생 20명에 교사 1명이었다. 1949년 사립학교에서 공립학교로 발전하였다. 1985년에는 학생 223명, 교사 12명에 달하였다.

교육 활동

매하구시 만룡향 조선족 소학교는 1990년대에 들어 학교 경영관리 및 교수 개혁을 강화하였으며, 또한 교사들의 열의도 매우 높아 교수 효과가 좋았다. 그 결과 1987년 매하구시 우수 학교로 선정되었고, 1996년에는 매하구시 모범 학교로도 선정되었다. 문예 및 체육 분야에서도 학생들의 활약이 매우 활발하여 매년 매하구시 축구대회를 우승하였으며, 지역 경기에서도 좋은 성적을 취득하였다.

현황

매하구시 만룡향 조선족 소학교의 1998년 당시 교장은 서동규 였으며, 학교 규모는 학생 180명(남 82명, 여 98명), 학전 학생 20명에 교직원 12명(남 8명, 여 4명)이었다. 건축 면적은 960㎡였다, 도서 총수는 1,890권(한글본 1,700권, 중국어본 190권)이었다. 매하구시 만룡향 조선족 소학교는 조선족 학교 통폐합에 따라 폐교되었다.

참고문헌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중국조선족학교현황지』(연변교육출판사, 2005)
  • 길림성민족교육넷(http://www.jlmj.net/)
  • 동북조선족교육과학연구소(http://www.dbcjyky.net/)
  • 매하구시 교육국(http://jyj.mhk.gov.cn/)
  • 매하구시교육정보넷(http://jlmhkjy.30edu.com/)
  • 중국조선족중소학교교육자원넷(http://www.koreannet.cn/)
  • 통화교육정보넷(http://www.jlthjy.com/)
  • 통화교육지도(http://school.jlthjy.com/Article/)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