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梅河口市 小楊滿族朝鮮族鄉 古城 小學校 |
|---|---|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매하구시 소양만족조선족향 고성촌 |
| 시대 | 현대/현대 |
| 개교 시기/일시 | 1934년 |
|---|---|
| 개칭 시기/일시 | 1945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68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0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6년 |
| 현 소재지 | 길림성 매하구시 소양만족조선족향 고성촌 |
길림성(吉林省) 매하구시(梅河口市) 소양만족조선족향(小楊滿族朝鮮族鄉) 고성촌(古城村)에 있던 조선족 소학교.
매하구시 소양만족조선족향 고성 소학교의 교육 목표는 도덕과 인성을 갖춘 학생을 키워 민족의 우수한 전통과 문화를 전승하는 것이다.
매하구시 소양만족조선족향 고성 소학교는 1934년에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 교장은 김모씨였고, 당시 학교 규모는 학생 43명에 교사 2명이었다. 1945년 학교명은 대양 조선인 소학교로 불렸다. 당시 교장은 김수만 이었으며, 학교 규모는 학생 77명, 교사 6명이었다. 그 후 1968년에는 마을 주민의 지원으로 토목 구조의 새 교사를 지었는데, 당시 학교 규모는 학생 134명에 교사 10명이었다.
그 후 학교 규모가 점차 커져 1971년에는 학생 182명, 교사 14명에 달하였다. 1990년에는 길림성과 매하구시의 투자로 700㎡ 규모의 교사를 새로 지었다. 1996년에는 1962년에 설립된 인근의쌍양 소학교가 고성 소학교에 통합되었다.
매하구시 소양만족조선족향 고성 소학교는 수업의 질을 부단히 향상시키기 위해 교수 개혁과 교원의 자질 향상에 특별히 심혈을 기울여왔다. 이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인성교육과 학습 부진생의 교육 및 지도를 강조하여 비교적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고성 소학교는 1998년 당시까지 총 58회에 걸쳐 1,04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98년 당시매하구시 소양만족조선족향 고성 소학교의 교장은김봉남이었으며, 학생은 148명(남 70, 여 78, 학전반 15명), 교직원은 12명(남 6, 여 6 민영 4, 학전반 1명)이었다. 건축 면적은 700㎡이었다. 도서 총수는 1,523권(한글본 862권, 중국어본 661권)이었다. 이후 고성 소학교는 조선족 학교 통폐합 방침에 따라 폐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