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석시 취시하진 조선족 중심 소학교

한자 磐石市 取柴河鎭 朝鮮族 中心 小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길림시 반석시 취시하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개교 시기/일시 1941년 8월
개칭 시기/일시 1951년
개칭 시기/일시 1954년
개칭 시기/일시 1991년 8월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1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5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8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1년
현 소재지 길림성 반석시 취시하진
정의

길림성 반석시 취시하진에 있던 조선족 소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반석시 취시하진 조선족 중심 소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이중 언어 실력을 갖추어 사회의 훌륭한 인재로 자라나도록 이끌어주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였다.

변천

반석시 취시하진 조선족 중심 소학교는 1941년 8월 반석현 취시하구 조선인 중심 소학교로 설립되었다. 초대 교장은 장모씨였고, 학교 규모는 학생 200명, 교원 13명이었다. 1951년에는 반석현 제13구 신민 학교, 1954년에는 반석현 취시하 조선족 소학교로 개칭하였다. 1971년에는 초급 중학반을, 1975년에는 고급 중학반을 설치하였다가 고급 중학반은 1978년에, 초급 중학반은 1991년에 폐지하였다. 삼만촌의 학생 20명, 장가촌의 학생 4명을 위해 두 곳에 각기 분교를 두었다. 1991년 8월부터는 반석시 취시하진 조선족 중심 소학교로 되었다.

1998년 당시 취시하진 조선족 중심 소학교의 교장은 김길원이었고, 학교 규모는 학생 86명[남 45명, 여 41명], 교직원 18명[남 4명, 여 14명]이었다. 학교의 건축 면적은 725㎡이었고, 소장 도서 총수는 1,124권[한글 524권, 한문 600권]이었다. 조선족 학교들의 통폐합 추세에 따라 폐교되었다.

교육 활동

반석시 취시하진 조선족 중심 소학교는 학교의 운영과 관리에 심혈을 기울여 1970년대로부터 약 10년간 교수의 질과 학교기본 건설, 근공검학 등의 방면에서 길림성내 조선족 학교의 선두에 섰다. 한어과(漢語科)의 이무동 선생은 1985년부터 6년간 한어문과에서 ‘병음 식자, 앞당겨 읽고 쓰기’ 실험을 진행하여 관련 부문 전문가들의 인정을 받았으며 길림성 노동력 모범, 전국 5.1상 등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중국조선족학교현황지』(연변교육출판사, 2005)
  • 길림시기초교육정보넷(http://www.jledu.com.cn/)
  • 길림성민족교육넷(http://www.jlmj.net/)
  • 동북조선족교육과학연구소(http://www.dbcjyky.net/)
  • 반석교육자원넷(http://www.psedu.com.cn/)
  • 반석시교사연수학원(http://www.psjxedu.com/)
  • 중국조선족중소학교교육자원넷(http://www.koreannet.cn/)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