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楡樹市 延和朝鮮族鄕 小學校 |
|---|---|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길림시 유수시 연화조선족향 |
| 시대 | 현대/현대 |
| 개교 시기/일시 | 1948년 |
|---|---|
| 폐교 시기/일시 | 2000년대 |
| 개칭 시기/일시 | 1964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49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59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4년~1995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4년~1996년 |
길림성 유수시 연화조선족향에 있던 조선족 소학교.
유수시 연화조선족향 소학교에서는 ‘분투, 성실, 근면’을 학교 교육 이념으로 하여 민족의 문화와 미덕을 갖춘 인재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였다.
유수시 연화조선족향 소학교는 1948년에 설립되었다. 현지 주민들에 의해 민영으로 설립되고 1949년에 공립으로 발전하였다. 설립 초기 학교명은 유수현 사하구 20구 연화 제2 중심 학교였고 신툰에 분교를 두고 있었다. 제1대 학교장은 허윤활이었고 학교 규모는 학생 280명, 교사 10명이었다. 그 후 1959년에 신툰 분교를 통합시켰는데 당시 규모는 학생 480명이었다. 1964년에는 학교명을 유수시 연화 조선족 소학교로 개칭하게 되었다. 유수시 연화조선족향 소학교에는 실험실, 기구실, 의무실 등이 갖추어져 시설이 비교적 양호하였다.
유수시 연화조선족향 소학교는 일찍 1987년에 벌써 의무교육을 완성하여 장춘시 정부의 표창을 받았다. 또한 1984~1995년까지 유수시 교육 선진 단위로 선정되었다. 1994년부터 1996년까지는 의무교육 보급 부분에서 일류 학교로 평가되기도 하였다.
학생들의 활약 역시 매우 주목할 만하였는데, 1983년 장춘 지구 조선족 낭독낭송 경연에서 3위를 했다. 1992년에는 장춘 지구 조선족 소학교 문예 경연에서 희곡 부문 1위, 무용 부문 3위를 취득하였다.
1998년 당시 유수시 연화조선족향 소학교의 학교장은 조태호였고, 학교 규모는 학생 198명(남 104명, 여 94명), 교직원 22명(남 7명, 여 15명)이었다. 당시 학교의 건축 면적은 865㎡이었고, 소장 도서 총수는 3,300권(조선어(한국어) 3,000권, 중국어 300권)이었다. 유수시 연화조선족향 소학교는 2000년대 이후 조선족 학교들의 통폐합 추세에 따라 폐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