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長春市 寬城區 朝鮮族 小學校 |
|---|---|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장춘시 관성구 동오조가 서호통 13호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학교 |
|---|---|
| 개교 시기/일시 | 1922년 9월 |
| 현 소재지 | 길림성 장춘시 관성구 동오조가 서호통 13호 |
길림성 장춘시 관성구 동오조가에 있는 조선족 소학교.
장춘시 관성구 조선족 소학교의 운영 목표는 인성 교육과 과학 교육을 진행하여 모두가 만족하는 학교를 만드는 것이다.
장춘시 관성구 조선족 소학교는 1922년 9월에 설립되었다. 여러 세대에 걸친 민족 교육에 대한 애착은 학교 발전에 큰 도움을 주었다. 그리하여 장춘시 일류 1급 학교·장춘시 국제교류 시범 학교·관성구 교원도덕 선진 학교·관성구 수업개방 실험 학교·장춘시 화원식 시범 학교·길림성 예술 교육 특색 학교·길림성 기초 교육 교본 과제 연구 기지·길림성 11.5 우수과제·길림성 11.5 우수 선진 단위·길림성 축구 전통 학교·중국 조선족 중심 소학교 창신 교육 실험 선진 집체·장춘시 민족대단결 선진 집체·관성구 민족 교육 선진 단위로 선정되었다.
장춘시 관성구 조선족 소학교는 세계화 및 미래 지향적 교육을 중시해 여러 가지 개혁을 추진했다. 산재 지구 한인[조선족] 학생들의 특징을 반영하여 교재의 수준을 향상시키려 노력했다. 또한, 교수 방법 연구도 꾸준히 진행해 성 일반 우수연구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또한, 학교 내에서 심미 교육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 기금을 마련하여 제반 교육시설을 갖추었고, 교수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문 인재를 초빙하였다. 그리하여 교내의 꼬마 비둘기 예술단은 각종 문예 경연에서 여러 차례 수상했고, 1996년 10월 한국문화관광체육부의 요청을 받고 여러 도시에서 공연을 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성 축구 전통 학교·성 예술 교육 전통 학교가 되었으며, 축구반은 전국 축구 시합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1978년 길림성 교육위원회에서는 첫 중점 학교로 선정되었으며, 1986년에는 조선족 중심 학교로 결정되었다. 이후 전국 조선족 중소학교 창신 교육 실험기지가 되어 학생들에게 창신 교육을 진행했고, 예술·체육 등의 특색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2012년 11월에 장춘시 소수 민족 중소학교의 학교 교육 과정 민족화와 교본화의 실천연구에 대한 보고 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는 연구에 따른 종합실천 활동·수업공개 활동·과제연구 교류회의 등의 다양한 내용으로 진행하였다.
교직원 46명 중에는 동북 3성 한어문 10대 교사 1명·성급 교육과학 연구 골간(骨幹 ) 교원 1명·길림성 소수 민족 교수 신예(新銳) 2명·장춘시 도덕 모범교사 5명·장춘시 10대 교사 3명·관성구 명교원 1명·시급 골간교원 4명·구급 골간 교원 14명이 있다. 85%의 교사들이 중국어와 한국어를 구사하여 능숙하게 강의할 수 있고, 여러 곳에서 발표한 논문만 230여 편이나 된다.
2002년부터 성 교육청과 공안청의 허가를 받아 외국 유학생의 입학을 허가할 수 있는 자격과 2008년부터 외국 교사를 초빙할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되었다.
2013년 당시 장춘시 관성구 조선족 소학교의 건축 면적은 7,200㎡(체육관 403㎡, 유치원 802.38㎡)이었다. 교수 시설은 컴퓨터실·심리상담실·도서실·실험실·의무실·악기실·미술실·태권도관 등이 있다. 또한, 국제화 표준에 도달한 침실·욕실·식당도 마련하였으며, 멀티미디어 장비와 더불어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도 비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