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백조선족자치현 제2 실험 소학교

한자 長白朝鮮族自治縣 第2 實驗 小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장백진 백산가 60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학교
설립자 강수산
전화 0439-8223201
개교 시기/일시 1918년
개칭 시기/일시 1925년
개칭 시기/일시 1932년
개칭 시기/일시 1946년
개칭 시기/일시 1948년 8월
개칭 시기/일시 1959년 3월
개칭 시기/일시 1992년 11월
현 소재지 길림성 장백조선족자치현 장백진 백산가 60호
정의

길림성 장백조선족자치현 장백진 백산가에 있는 조선족 소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장백조선족자치현 제2 실험 소학교의 교육 목표는 민족적 자질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변천

장백조선족자치현 제2 실험 소학교는 1918년 장백현의 조선족들을 위해 일곱 곳에 학교를 설립하여 학교명을 정몽 학교라 하였다. 그 중 현성의 학교가 제1 정몽 학교이며, 초대 학교장은 강수산 이었다. 당시 학교 규모는 학생 49명, 교사 2명이었다. 1925년에는 길림성 장백현 제1 국민학교 제1 분교로 개칭되었으며, 당시 학교장은 조동명이었다.

1931년 만주 사변 이후 초급 소학, 고급 소학으로 나눈 6년제를 실시하였다. 1932년에는 학교명을 장백 보통학교로 개칭하였다. 그 후 1946년에 장백 조선인민 학교, 1948년 8월에 장백현성 제2 완전 소학교, 1959년 3월에 장백현 록강 소학교로 교명을 고치고 이후 통화지구 중점 학교가 되었다. 1960년에는 조선족 중학교인 2중과 통합하고, 1971년 10월에는 장백현 제2 중학교 소학부로 운영되다가 1980년에 다시 분립하여 록강 소학교가 되었다. 그 후 1992년 11월에 장백조선족자치현 제2 실험 소학교로 개칭하였다.

교육 활동

장백조선족자치현 제2 실험 소학교의 운영 방침은 예술 교육을 중심으로 특색있는 학교로 만드는 것이다. 그리하여 1988년 길림성 소학교 문예 녹화 회보 공연에서 2위, 제2차 조선족 소년아동 소발명 및 소논문 콩쿠르에서 우수 단체상·백룡상·1등상을 수여받았다. 1989년 국가 소선대 사업 위원회에서 붉은기 대대학교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에는 전국 조선족 소년아동 문학작품 콩쿠르에서 여섯 편의 작품이 수상하고, 우수 단체로 선정되었다.

1990년 9월 연변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방송된 「압록강반의 꼬마위사」는 이 학교의 과외활동 성과를 반영한 것이다. 1997년 중일 소년아동 미술 경연에서도 수상했으며, 1993년과 1994년에 있는 전국 작은 별컵 미술·서예·촬영 경연에서 여러 가지 상을 수상했다. 1996년 전국 미술 경연에서도 수상하고, 세계 소년아동 우수미술 작품집에 9명 학생의 미술작품이 등재되었다.

1988년부터 꾸준히 교사들의 논문 등이 발표되고 있다. 1990년부터는 줄곧 현 의무교육 표준 도달학교·전면 우수 학교·과학관리 표준화 학교·성 표준화 실험 학교로 선정되었다. 현재 는 동북 3성 산재 지구 조선족 소학교에서 비교적 규모가 크고 실력 있는 학교로 부상하고 있다. 개교 이래 총 51회에 걸쳐 총 348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현황

1998년 당시 장백조선족자치현 제2 실험 소학교의 학교장은 리춘섭이었다. 학생 639명(남 321명, 여 318명), 교직원 45명(남 17명, 여 28명)이었다. 학교 건축 면적은 2,300㎡이고, 도서는 총 4,768권(조선어(한국어) 2,896권, 중국어 1,872권)을 소장하고 있다.

2005년 당시 학생은 432명, 교사는 56명이었다. 학교 건물 면적은 4,881㎡이고, 도서는 조선어(한국어) 도서 5,095권과 중국어 도서 7,905권을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현황지』(연변교육출판사, 2005)
  • 장백교육넷(http://cb.cbs.gov.cn/jyj)
  • 장백교육정보넷(http://cbxjyw.30edu.com/)
  • 길림성 민족교육넷(http://www.jlmj.net/)
  • 동북조선족교육과학연구소(http://www.dbcjyky.net/)
  • 중국조선족중소학교교육자원넷(http://www.koreannet.cn/)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