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정시 노두구진 제2 중학교

한자 龍井市 老頭溝鎮 第2 中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노두구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학교
전화 0433-3512270
개교 시기/일시 1945년 11월
개칭 시기/일시 1945년 11월
개칭 시기/일시 1949년
개칭 시기/일시 1952년
개칭 시기/일시 1958년
개칭 시기/일시 1963년
개칭 시기/일시 1978년
개칭 시기/일시 2002년
현 소재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노두구진 장도로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용정시(龍井市) 노두구진(老頭溝鎮) 장도로(長圖路)에 소재한 조선족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용정시 노두구진 제2 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민족 인재 양성이다.

변천

용정시 노두구진 제2 중학교는 1945년 11월에 사립 중학교로 설립되었고, 1950년에 공립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1945년 11월에는 대동 중학으로, 1949년에는 유서 중학, 1952년에는 연길현 10중, 1958년에는 노두구 중학, 1963년에는 연길현 2중, 1978년에는 노두구 2중 등으로 각각 교명이 바뀌었다.

1945년에는 노두구 아마 공장 내로 이전해 있다가, 1946년에는 현재의 노두구 1중 자리로 옮겼고, 1978년에는 노두구 농업 중학교 자리로 옮겨왔다. 1959년부터 1978년까지는 한족반을 증설하여 전 자치주에서 처음으로 조한 민족 연합 학교를 운영하였다. 2002년에는 노두구 1중(한족 학교)과 노두구 2중이 합병되어 노두구진 중학교로 개칭되었다.

교육 활동

용정시 노두구진 제2 중학교는 민족 교육을 중시해 조한 민족 연합 학교를 운영하였다. 이에 성·주·시의 민족 단결 모범 학교로 선정되었다. 또한, 학교 운영에서 근공검학 선진 학교로 평가되었다.

학생들은 성 수학 경시대회에서 1등·성과 주급 미술대회에서 1~3등·성급 여자축구 시합에서 2등을 하여 학교의 위상을 높였다. 또한, 학생들의 재능에 맞는 소질개발에 심혈을 기울여 군인·엔지니어·기업가·예술가·교사·우수한 당정간부들을 배출했다.

현황

용정시 노두구진 제2 중학교의 2005년 학생 수는 304명이었고, 교직원은 39명이었다. 조선어(한국어) 도서는 1,000권, 중국어 도서 5,000권을 소장하고 있다. 1995년부터 근 5년간 노력하여 3,600㎡에 달하는 교사를 신축하였다. 2011년 현재 4개 학급에 95명 학생이 있다. 그 중 한인[조선족]으로 1반, 한족으로 3반을 구성했다. 이후 한인[조선족] 학생 수가 총 3명으로 줄자 한족반에 편입시켰다.

참고문헌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현황지』(연변교육출판사, 2005)
  • 길림성교육정보(www.jledu.gov.cn)
  • 연변교육정보(www.ybedu.net)
  • 용정교육정보자원(longjing.ybedu.net)
  • 용정교육정보(http://longjing.ybedu.net/show.aspx?id=159&cid=38)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