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하구시 제11 중학교

한자 梅河口市 第11 中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통화시 매하구시 신화가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전화 0435-4223287
홈페이지 www.mhkcz.cn
개교 시기/일시 1944년
개칭 시기/일시 1954년
개칭 시기/일시 1958년
개칭 시기/일시 1967년
개칭 시기/일시 1978년 7월
개칭 시기/일시 2004년 7월
현 소재지 매하구시 화성촌 3조
정의

길림성(吉林省) 통화시(通化市) 매하구시(梅河口市) 신화가(新華街)에 위치한 조선족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매하구시 제11 중학교는 ‘개척(開拓), 창조(創造), 입지(立志), 육인(育人)’ 등의 교훈처럼, 각자가 원대한 뜻을 세워 창조적이고 개척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하는 데 교육 목표를 두고 있다.

변천

매하구시 제11 중학교는 1947년 5월 해룡현 조선인민 해산 중학교 설립으로 시작되었다. 1954년해룡현 제2 초급 중학교, 1958년에는 고중부를 설립하고 해룡현 제2 중학교,. 1967년 다시 매하구진 조선족 중학으로 불렸다.

1978년 4월에는 현 교육기관의 결정에 따라 해룡 2중과 해룡 9중의 고등부를 합병하여 조선족 완전 중학교로서 해룡현 제11 중학교로 개칭하였다. 1985년 3월 매하구시 제11 중학교, 2004년 8월 매하구시 조선족 중학교로 이름을 바꾸어 오늘에 이른다.

현황

매하구시 제11 중학교는 민족 언어문자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고 교육의 질을 향상하기에 힘써 왔다. 매하구시 제11 중학교의 교사들은 “조선족 중학교는 정말 대학생을 배출할 수 없단 말인가?”라는 의문을 가지고 수업의 질 향상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 1979년에는 90명에 달하는 1기 졸업생들이 모두 대학 입시를 치러 34명이 합격하였으며, 입학률은 37.8%였다. 1983년부터는 북경 대학, 청화 대학에도 학생들을 입학시켰다.

2006년 11월에 준공된 새 교사는 대지 3,500㎡, 건물 면적 16,805㎡이다. 현재 교사는 156명, 학생은 1,390명이다. 개교 이후 60여 년 동안 고중 졸업생은 5,639명, 초중 졸업생은 11,494명을 배출하였다. 현재 매하구시 제11 중학교매하구시를 포함한 동풍(東豊), 요원(遼源), 반석(磐石), 휘남(輝南), 유하(柳河), 통화(通化), 집안(集安), 장백(長白) 등지의 학생을 모집하고 있으며, 길림성 조선족 지구의 민족 교육 요람으로 불린다.

참고문헌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중국조선족학교현황지』(연변교육출판사, 2005)
  • 홍길남 외, 『기사로 읽는 새중국 60년 조선족 변천사(길림편)』(민족출판사, 2010)
  • 길림성교육정보(www.jledu.gov.cn)
  • 매하구시교육국(jyj.mhk.gov.cn)
  • 매하구시 조선족중학교(http://www.mhkcz.cn/)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