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하구시 제9 중학교

한자 梅河口市 第9 中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통화시 매하구시 해룡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학교
개교 시기/일시 1968년
폐교 시기/일시 1990년대 말
최초 설립지 길림성 매하구시 해룡진
정의

길림성 매하구시 해룡진에 있던 조선족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매하구시 제9 중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인성 교육을 특히 강조하면서 전인적 인재를 양성하고, 더불어 한인[조선족]의 문화전통을 전승하고 진리, 탐구, 학습의 교훈을 잘 실현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였다.

변천

매하구시 제9 중학교는 1968년 설립되었다. 그 후 1980년대 후반에 들어 교수 질이 특히 높아져 사회적으로 호평을 받았다.

교육 활동

매하구시 제9 중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자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특별활동과 문체활동을 강조하여 왔다. 그 중 전통 체육 종목인 배구는 여러 차례 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또한 입시 교육을 인성 교육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사고 전환과 자질 향상에 힘썼으며, 학생 인성 교양과 부진아 교육을 중요시하였다. 특히 문명예절 교육이 잘 되어 여러 차례 표창을 받았다.

현황

1998년 당시 매하구시 제9 중학교의 학교장은 이문찬이었고, 학교 규모는 학생 201명(남 92명, 여 109명), 교직원 36명(남 16명, 여 20명)이었다. 당시 학교의 건축 면적은 1,494㎡이었다. 소장 도서 총수는 4,810권이었다.

본교는 1990년대 말 매하구시 제11 중학교, 즉 현 매하구시 조선족 중학교에 통합되었다.

참고문헌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중국조선족학교지』,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중국조선족학교현황지』, (연변교육출판사, 2005)
  • 매하구시 교육국(http://jyj.mhk.gov.cn)
  • 매하구시교육정보넷(http://jlmhkjy.30edu.com)
  • 통화교육지도(http://school.jlthjy.com/Article)
  • 통화교육정보넷(http://www.jlthjy.com)
  • 동북조선족교육과학연구소(http://www.dbcjyky.net)
  • 길림성민족교육넷(http://www.jlmj.net)
  • 중국조선족중소학교교육자원넷(http://www.koreannet.cn)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