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춘시 조선족 중학교

한자 長春市 朝鮮族 中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장춘시 개선로 10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학교
설립자 김봉화
전화 0431-85800787
홈페이지 http://www.cccz.cn
개교 시기/일시 1956년 9월
현 소재지 길림성 장춘시 개선로 10호
정의

길림성 장춘시 개선로에 있는 조선족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장춘시 조선족 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진(眞), 선(善), 미(美)”을 바탕으로 중국어와 한국어에 능통하고 전인적인 인재 양성이다. 또한 교육 목적은 건전한 인격을 형성하고, 도전 정신을 발휘하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변천

장춘시 조선족 중학교는 1956년 9월에 설립되었다. 당시 장춘·사평·백성 지구의 한인[조선족] 교육 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하게 된 것이다. 처음에는 장춘시 5중에 부설한 4개의 조선족 초중반과 회덕 1중에 부설한 2개의 조선족 초중반을 토대로 하여 그 해에 고중 2개 반과 초중 4개 반을 더 모집하면서 출발하였다. 당시 학교 규모는 학생 620명에 교원 45명이었고, 책임자는 유병산이었다. 1957년 초대 교장으로 김봉화가 부임되었다. 1960년에는 학생 1060명에 교직원 67명에 달했다.

이후 문화 대혁명의 영향을 받아 1970년부터 1974년에 4년제 민족 연합 중학교로 전락했다. 이때 한족 학생들이 다수를 차지하면서 학교는 점차 민족 학교의 성격을 잃게 되었다. 하지만 1978년부터 학교가 길림성 중점 대외 개방 학교로 선정되면서 다시 활기를 찾아갔다.

이후에는 직업 고등학부를 운영하여 고등학교에 입학하지 못한 학생들이 계속하여 공부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인성 교육도 강조하였다. 또한, 전공과 교육 목표를 명확히 하여 취업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취업률은 100%에 달했다. 현재는 성·시의 중점 학교 및 성 대외 개방 학교로 부상하고 있다.

교육 활동

장춘시 조선족 중학교는 최근 교육 추세와 한인[조선족] 교육에 중점을 두고 한인[조선족] 사범 교육과 직업 교육을 실시하여 종합 학교로 발전하고 있다. 교수 방법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여 많은 교원들이 논문 등을 발표하였다. 그리하여 시 문명 단위·선진 공산당 지부·학교 관리 선진 단위·위생 붉은기 단위로 표창 받았고, 4년 연속으로 시 교수 선진 학교로 선정되기도 했다.

장춘시 조선족 중학교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사람을 기본으로 하는 조화로운 발전과 세 가지 언어에 능통하고, 전통적인 예절을 갖추고, 과학기술에 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특히 학교를 발전시키기 위해 자기주도 학습·협동 학습·탐구 학습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모형을 깊이 연구하고 있다. 교사들 또한 여러 가지 유형의 시범 수업, 학습 지도안 보급, 교사 좌담회 등의 활동으로 학교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매년 대학교 입시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으며, 해마다 장춘시 대학 입시 시험 평가에서 1등상을 받기도 했다.

또한 도덕 교육도 중시하고 있다. 그리하여 인본주의 관리, 애국주의 교육, 예절 교육 등을 강조한다. 매 학기마다 “미성년 사상도덕 건설을 강화에 관한 의견”, “공민 도덕 규범”, “일상 행위 규범”, “중학생 수칙”과 교칙을 꾸준히 교육시켰다. 학기마다 계획적으로 전통 캠퍼스 예절교육 활동을 진행하고, 문명 예절교육 교과서를 편집하여 예절교육이 전통성과 체계성 및 실효성을 갖추도록 했다. 그리하여 장춘시 행위규범 시범 학교와 도덕교육 선진 학교로 선정되었다.

현황

2013년 현재 장춘시 조선족 중학교의 학교장은 리종성이다. 중학부·고등학부·직업 고등학부와 국제 교류부로 구성되어 있다. 36개 학급에 1300명 학생이 있고, 교직원은 159명이다. 교직원 중 특급 교사 1명, 길림성 학과 선두 교사, 골간(骨幹) 교사, 길림성 교육학원 겸 직업교연원, 장춘시 중견 교사, 교육과학 연구형 교사, 우수 교사가 48명이 있고, 고급 교사가 38%, 중급 교사가 47%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현황지』(연변교육출판사, 2005)
  • 장춘시관성구인민 정부교육부서(http://www.ccjydd.com/other/xiang.php?id=245)
  • 장춘교육넷(http://www.ccedin.net/ccedinweb/indexshow.action)
  • 길림성민족교육넷(http://www.jlmj.net/)
  • 동북조선족교육과학연구(http://www.dbcjyky.net/)
  • 중국조선족중소학교교육자원넷(http://www.koreannet.cn/)
  • 장춘시조선족중학(http://www.cccz.cn/)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