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金昌傑 短篇 小說集(解放前 篇)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 유형 | 문헌/단행본|작품/문학 작품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단편 소설 선집 |
|---|---|
| 작가 | 김창걸 |
| 저자 생년 시기/일시 | 1911년 |
| 저자 몰년 시기/일시 | 1991년 |
| 편찬|간행 시기/일시 | 1981년 |
김창걸의 해방 전 단편 소설 선집.
1982년 요령인민출판사에서 간행한 『김창걸 단편 소설집』(해방전 편)은 중국 한인[조선족] 문학의 선구자로 불리는 김창걸의 단편 소설 중 해방 전 작품을 수록한 작품집이다. 처녀작으로 알려진 「무빈골 전설」을 비롯한 단편 소설 13편과 수필 「붓을 꺾으며」 1편이 실려 있다.
『김창걸 단편 소설집』(해방전 편)은 작가가 직접 출간 의도를 밝히고 있는 「작품집을 내면서」와 편집부가 작성한 「작가 소개」를 비롯해 13편의 단편 소설과 1편의 산문이 수록되어 있다. 작품마다 창작 시기가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 발표 연도와 일치하지 않으며, 원 발표 작품과 많이 다르게 개작되기도 하였다. 수록된 작품명과 창작 시기는 「무빈골 전설」[1936], 「소표」[1937], 「두번째 고향」[1938], 「기념사진」[1938], 「그들이 가는 길」[1938], 「부흥회」[1939], 「락제」[1939], 「지새는 밤」[1939]. 「세상인심」[1940], 「도망」[1941], 「어머니의 반생」[1941], 「강교장」[1942], 「전형」[1943], 「붓을 꺾으며」[1943]이다.
『김창걸 단편 소설집』(해방전 편)에서는 김창걸의 처녀작으로 알려진 「무빈골 전설」을 비롯해 해방 전에 창작한 작품들을 작가 김창걸이 직접 수정하여 수록하고 있다. 각 작품의 말미에 창작 년도가 해방 이전 시점으로 기록되어 있다.
『김창걸 단편 소설집』(해방전 편)에 실린 작품 중 일제 말기 절필의 심정을 기록하고 있는 수필 「붓을 꺾으며」는 작가의 삶의 궤적을 작가의 자신의 말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 작품이다.
『김창걸 단편 소설집』(해방전 편) 에서는 서두에 밝히고 있듯이 원본 작품을 그대로 수록하지 않고 ‘자서전 제재의 것을 회상’하여 수정, 재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각 작품의 말미에 창작 연도가 해방 이전 시기로 되어 있는 것은 선집 발행 당시 작가의 기억에 따른 것이다.
『김창걸 단편 소설집』(해방전 편) 을 통해 해방 이전 재만 조선인의 삶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작품의 수정과 재구성 과정을 통해 해방 이후 변화된 작가의 인식을 엿볼 수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