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엿물벼락」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연극
주요등장인물 조선족 여인들, 일본군
창작|발표 시기/일시 1930년대
정의

항일 전쟁 시기 조선족 여인들의 슬기로운 모습을 그린 연극.

개설

연극 「엿물 벼락」은 무장 탈취 투쟁에 동참한 조선족 여인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9·18 사변’ 후 동북의 만주 지역에서는 유격대가 창건되기 시작했는데 가장 시급했던 문제가 무기 문제였다. 그 때문에 각지에서는 “적의 무장을 탈취하여 군중을 무장하자”는 대중적인 무장 탈취 투쟁이 벌어졌다. 이 투쟁에서 조선족들은 생사를 무릅쓰고 지혜롭게 적의 손에서 다수의 무장을 탈취하였다.

공연 상황

1930년대 중반 항일 유격대 근거지인 연길현의 왕우구, 화룡현의 어랑촌 등에서 조선족을 대상으로 공연하였다.

구성

전 1막 구성의 단막극이다.

내용

어느 날 부녀회의 여인들이 모여서 유격대에 보낼 엿을 한창 달이고 있는데 총을 멘 세 명의 일본 병사들이 마당에 들어섰다. 병사들을 발견한 여인들은 얼른 엿물을 한 사발씩 떠주며 병사들을 반가이 맞아들인다. 그들은 여인들의 대접에 시름 놓고 엿물을 마셔댄다. 이렇게 그들이 정신없이 즐기는 틈을 타서 부녀회원들은 솥에서 펄펄 끓는 엿물을 퍼내서 ‘놈들의 대갈통에 퍼붓고 마구 두드려 요절을 낸 다음’ 세 자루의 총을 빼앗아 유격대에 보낸다.

의의와 평가

이처럼 「엿물벼락」은 적들의 총을 지혜롭게 빼앗아 항일 유격대에 지원을 한 조선족 여인들의 슬기로운 모습을 묘사하면서 다른 이들도 이렇데 대담하게 행동한다면 항일 무장 투쟁에 있어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신념을 안겨 준 작품이다.

참고문헌
  • 김운일, 『중국 조선족 연극사』(신성 출판사, 2006)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