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巫堂과 醫員 |
|---|---|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연극 |
|---|---|
| 작가 | 작자 미상 |
| 창작|발표 시기/일시 | 1930년대 |
1930년대 항일 유격대에서 공연한 희극.
항일 유격대의 선전대가 조선족이 거주하는 곳을 돌면서 공연했다.
전 1막 구성의 단막극이다.
「무당과 의원」은 1930년대 항일 유격대에서 공연된 희극 작품으로 작자는 미상이다. 같은 시기의 「굿과 약」이란 연극과 주제와 인물 구성 방식이 비슷하다. 다만 「무당과 의원」은 연극적인 수법과 내용적 측면에서 「굿과 약」보다 풍부하고 풍자성이 강하여 조선족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 미신과 낡은 인습을 타파하고 새로운 문화를 배우라고 깨우치는 교훈적인 내용이다. 줄거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느 산골의 농민 부부가 아들 하나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아들이 병에 걸리자 부부는 치료하기 위해 많은 돈을 들여 무당을 불러다 굿을 하였다. 그럼에도 아들은 낫지 않았고 병은 갈수록 깊어만 갔다. 하는 수 없이 농민 부부는 또 다른 무당을 불러들인다.
그런데 무당은 의사를 불러 아들에게 주사를 놓도록 하고 약을 먹게 한다. 그 뒤 아들은 병에서 회복되어 살아난다. 새로운 무당은 지하에서 활동하던 혁명가였던 것이다. 그는 농민들 앞에서 미신의 낡은 사상을 버리고 현대적인 새 사상, 새 문화를 배우라고 일깨워준다.
「무당과 의원」은 두 가지의 치료책을 흥미있게 대비시켜 미신의 기만성과 허위성을 폭로하고 있다. 조선족들에게 미신보다는 문명의 가치를 보여주는 계몽적인 성격이 강한 연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