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풍자 희극 |
|---|---|
| 작가 | 작자 미상 |
| 창작|발표 시기/일시 | 1930년대 |
1930년대 항일 유격대가 공연한 풍자 희극.
항일 유격대의 선전대가 각 지구를 돌면서 공연했다.
전 2막의 장막극이다.
「게다짝이 운다」는 1930년대 항일 유격대에서 공연한 풍자 희극으로 작자 미상이다. 주인공인 일본인 경찰서 서장의 부인을 풍자하며 항일 유격대가 항일 투쟁에서 필승할 수밖에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주인공의 남편이 항일 유격대를 잡기 위해 발광하며 토벌에 나선다. 그녀는 ‘가미다나(神棚, かみだな : 일본인들이 거실에 신을 모시기 위해 마련한 제단)’ 앞에 공손히 꿇어 앉아 두 손을 싹싹 비비며 남편이 큰 공을 세우고 돌아오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그런데 부인은 토벌하러 갔던 경찰서장이 부하들과 함께 매복한 유격대에 공격을 당해 죽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부인은 ‘가미다나’ 앞에 쓰러지며 통곡한다. 부인은 울면서 신었던 게다짝을 벗어들고서는 바닥을 두드렸다. 사람이 우는지 게다짝이 우는지 구슬픈 소리에 연극은 막을 내린다.
「게다짝이 운다」는 일본인들이 우상으로 받들어 모시는 신의 힘으로도 항일 유격대의 기세를 막지 못한다는 것을 조선족들에게 보여주며 항일 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