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미나리 打令 |
|---|---|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항일가요 |
|---|---|
| 작사자 | 림화림 |
| 창작|발표 시기/일시 | 1944년 |
1944년 「도라지 타령」에 새 가사를 붙여서 부른 항일 가요.
1944년 한국의 전통 민요 「도라지」에 임화림이 가사를 붙여 「마나리 타령」을 불렀다.
3/4박자 G장조의 곡이다. 그러나 「도라지」는 양산도 리듬(8/9박자)을 사용하였는데, 같은 곡을 「미나리 타령」에서 3/4박자로 채보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1. 미나리 미나리 들미나리 / 태항산 꼭대기 들미나리
한 두 뿌리만 뜯어도 대바구니 찰찰찰 넘치누나
2. 남동무들은 곡괭이 메고 / 태항산 꼭대기를 올라가서
한 두 포기 두들겨 빼고 / 감자를 두둥실 삶는구나
3. 공산당 모주석 령도하에 / 동지들 굳게 단결하세
왜놈 제국주의 때려 부시고 / 승리의 노래를 부르자
(후렴) 에헤야 에헤야 좋구나 어여라 뜯어라 어여라 캐여라
이곳도 우리의 혁명이란다
일본 제국주의를 타파하고 승리의 노래를 부르자는 가요이다. 우리의 전통 민요곡을 차용하여 항일 투쟁 중에 불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민요 중에 유쾌하고 낙천적인 선율을 가진 「도라지 타령」의 선율에 새 가사를 얹어서 따라 부르기 쉽게 창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