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현대/현대
정의

길림성연변조선족자치주에 전승되는 조선 중기 이후에 정착된 독창적인 극음악.

개설

판소리는 19세기 말엽부터 20세기 초 조선인들이 중국 동북 지방에 이주하여 자신의 예술을 계승·발전시켰기 때문에 판소리가 어느 시기, 누구에 의해 중국에 전해졌는지는 알기 힘들다. 노래하는 한 사람이 북을 치는 한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극적인 또는 서사적인 내용으로 된 긴 사설을 소리, 아니리, 발림으로 엮어가는 종합 예술의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나 소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명창의 기준이 될 만큼 절대적이어서 전통 음악의 한 장르로 분류되어 있고 국문학, 연극, 민속학적인 측면에서도 수준 높은 전통 예술로 인식되어 있다.

특징

판소리라 부르는 말은 ‘짜여진 한 판의 노래’ 또는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로 해석할 수 있으나 전자의 개념이 훨씬 강해서 처음부터 끝까지 연이어서 부를 때 판소리라 했고 일부분만 떼어서 부를 때는 토막 소리 또는 그냥 소리라고 했다.

노래하는 사람은 두루마기나 창옷을 입고 갓을 쓰며 손에는 부채를 들고 서서 소리하되 판소리가 극적으로 전개됨에 따라서 앉기도 하고 고수 가까이 가서 대화도 하면서 여러 가지 몸짓과 우스운 말을 곁들여 연주하였다. 앉아서 북을 치는 고수와 청중은 소리가 무르익으면 ‘얼씨구’, ‘좋다’ 등의 추임새로 노래하는 사람의 흥을 돋구는데, 창자와 고수와 청중이 함께 연희를 이끌어가는 것이 판소리 연희 형태의 한 특징이다.

연변의 판소리

한인들에게 판소리는 1930년대 조선에서 판소리 명창으로 불리던 이동백의 인솔 아래 판소리 가수들이 길림성의 연길, 용정, 장춘과 흑룡강성의 해림, 상지, 하얼빈, 그리고 요령성의 심양 등지를 다니며 공연한 일이 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일제의 탄압으로 인해 동북 지방에는 판소리만 부른 직업 판소리꾼은 없었으며, 민간의 놀이터나 술자리에서 판소리가 불리며 전해지는 것에 불과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창건 이후, 공산당과 국가의 문예 정책의 일환으로 1952년부터 연변 가무단을 비롯한 전문 예술 단체의 김성민, 고자성, 정진옥, 이광훈 등이 민간 음악과 판소리를 비롯한 전통 음악 발굴 사업을 진행하기 시작했다. 하얼빈 지구에는 이선화, 박예화 등이 판소리 토막을 불러 관중의 찬사를 받았으며, 목단강 지구에서는 신옥화, 박정렬 등이 「춘향가」, 「흥부가」 등을 불렀고, 심양 지구에서는 이금덕이 「적벽가」 등을 불렀으며, 연변 지구에서는 우제강, 조종주 등이 서도 소리 「배뱅이굿」을, 김상국, 이정순, 조한용, 강성기 등은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수궁가」 등의 단락을 불렀다고 전한다.

1957년 연변 예술 학교가 세워지면서, 민간 예인 신옥화, 박정렬, 김문자, 이금덕 등은 판소리를 포함한 민족 성악 교원으로 초빙되어 후대들에게 판소리를 전수하게 되었다. 또한 연변 가무단에서도 민간 예인인 우제강조종주가 초청되어 무대에 올랐다. 1958년 연변 예술 학교에서는 대외 문화 교류로 조선의 저명한 전통 음악 전문가인 지만수와 방옥란을 초빙하여 판소리 등 전통 예술을 전수받음으로써 전통 음악의 보급에 커다란 추진을 가져왔다.

1961년 연변조선족자치주 문예 연구조가 조직되었고, 판소리를 비롯한 민간 전통 예술을 계획적으로 발굴, 연구하는 데 밑바탕이 되었다. 1962년에는 판소리에 조예가 깊은 박정렬, 신옥화, 이금덕 등 민간 예술인들을 중심으로 연변 창극 연구소조를 세우고 전통적 판소리를 전수하는 한편, 창극 「춘향전」 등 창본을 정리하여 연습, 공연하였으며 세권의 민간 음악 기록본 등 사본을 정리하였다. 이 시기 전화자, 강신자 등 젊은 판소리 세대가 양성되었으며, 1980년대에는 임명옥, 배화숙과 같은 새 소리꾼들이 활약했다.

1991년에 이르러 길림 예술 학원 연변 분원에서 민족 음악 학부를 세우고, 강신자의 지도 아래 김월녀, 김화 등 젊은 판소리 후계자들을 양성했다. 1990년 7월 요령성 단동시에서 전국 조선민족-장성컵 민간 음악, 무용 초청 경연 대회를 위해 창작된 새 판소리가 중국단동 무대에 올랐다. 그 후 2000년대에 들어와 연길시 조선족 예술단에서 최현 작사, 정철 작곡의 「처지 유람가」를 공연하였다.

참고문헌
  • 대한민국 예술원, 『한국 음악 사전』(1985)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