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등가 打令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서정 세태요 |
|---|---|
| 출현음 | 미라시도레미 |
| 박자구조 | 굿거리 또는 8/6 |
| 가창자/시연자 | 심상희 |
전라도 지방의 통속 민요 「남원산성」이 전해져 한인[조선족] 사회에서 불려지는 서정 세태요.
노래 가사 첫 구 “남원산성”을 따서 노래 제목으로 삼기도 하고, 또 노래의 끝 부분 후렴구에 해당되는 가사인 “에헤야 디야 어루둥가 허허 둥가”로 「둥가 타령」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김봉관 편저 『중국 조선족 민간 음악집』에 “남원산성 올라가”로 시작하는 「둥가 타령」이 박정렬의 노래로 수록되어 있다.
장단은 자진 중중모리나 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노래한다. 유절 형식으로 되어있고, 앞소리와 뒷소리로 나누어진다. 선율의 짜임은 장단 단위로 꼭꼭 떨어지게 대구를 이루고 있어서 노랫말의 이해나 선율의 이해가 쉽다.
예전에 한반도 남쪽에서 소리꾼들이 방안에서 소리판을 벌릴 때는 「육자배기」, 「흥타령」 등 긴소리를 연이어 부르고 나서 짧은 노래를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한 사람이 6~8장단 가량의 앞소리를 메기면 여러 사람이 “에헤야 디야 어루둥가 허허 둥가” 로 세 장단의 뒷소리를 받는다. 선율의 구성음은 미, 라, 시, 도, 레로 되어 있다.
중국 한인[조선족] 노래 「둥가 타령」의 노랫말은 전라도의 것과 거의 같다. 괄호 속의 것[전라도의 것]에서만 조금 차이가 있다.
중국 한인[조선족] 「둥가 타령」
남한산성 올라가 이화문전 바라보니
수진이 날진이 해동청 보라매 떴다 보라매 저 종달새
석양은 떨어져 갈매기 울고 능수버들 가지 휘늘어진데
꾀꼬리는 짝을 지어 이산으로 가며 꾀꼬리 루리루
음 음 에헤야 에 야 듸 야
허허허허 허 둥가 둥가 내 사랑이로다
[박정렬 노래, 안계련 채보]
한반도「남원산성」
남원산성 올라가 이화문전 바라보니
수진이 날진이 해동청 보라매 떴다 봐라 저 종달새
석양은 늘어져 꾀꼴새 울고 능수버들가지 휘늘어진데
꾀꼬리는 짝을 지어 이 산으로 가며 꾀꾀꼴 꾀꼴
(후렴)응~응 어허야 에허야 디야(듸여) 둥가 어허 둥가
둥가 내 사랑이로다(구나)
일노래와는 관계가 없고 통속 민요로 노래 전문 가수들이 불러서 널리 퍼진 노래
한반도 남쪽 전라도 지방에서 불려 지던 통속 민요가 중국 한인[조선족] 박정렬을 통해서 전해졌다. 전라도 소리와 노래 말 내용에서 크게 다른 점은 없고, 다만 창법이나 선율의 미세한 새김 등에서는 차이가 있다.
한반도 남쪽 전라도 지방의 통속 민요가 지역을 떠나서 중국 한인[조선족]에게 전해진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노래이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판소리 창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노래 부르지만, 판소리나 단가 등이 잘 전해지지 않은 중국 한인[조선족]에게는 창법이나 선율의 새김에서 변용이 생기기 마련이어서 그 특징을 비교해볼 수 있는 좋은 대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