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뽕打令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타령 |
|---|
한인[조선족] 사회에서 불려지는 서정 세태요(유희요) 중의 하나.
뽕따는 일에 빗대어 남녀 간의 사랑을 이야기 하는 노래로, 부르는 사람에 따라서 노랫말의 내용이나 음악 구조가 다르다.
김봉관 편저 『중국 조선족 민간 음악집』에 최정순, 오향자, 구용환 세 사람의 「뽕타령」이 채록되어 있고 그것은 이황훈, 김봉관의 채록 악보로 수록되어 있다.
「뽕타령」은 노래 부르는 사람에 따라 음계나 장단을 달리한다. 최정순이 부른 「뽕타령」은 굿거리 장단에 솔.라.도.레.미의 음구조로 비교적 경쾌한 느낌이 드는 노래이고, 오향자나 구룡환이 부른 「뽕타령」은 미.솔.라.시.도.레의 음구조로 반음 꺾는 음이 나타난다. 리듬은 굿거리 장단, 또는 엇모리 장단을 쓰고 있다.
중국 조선족 민간 음악에 한반도 남쪽 전라도의 음악적 특징의 비중은 크지 않은데, 이 노래에는 솔음계, 미음계의 구조가 나타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리듬 구조에서도 민요에 흔히 쓰이는 3분박 리듬의 굿거리 장단 말고 혼합 박자인 엇모리 장단도 쓰이고 있어서 짧은 민요에 다양한 음악 어법이 적용되어 있다. 유절 형식을 띄고 있다.
「뽕타령」 1
에헤 에헤야 얼싸네로구나
얌전한 처녀가 에루화 나는 좋더라
에헤 에헤야 얼싸네로구나
의젓한 총각이 에루화 나는 좋더라
뽕밭에 들어 뽕따는 처녀야
곁눈질 말고서 에루화 뽕이나 따거라
사래 김밭에 김매는 총각아
실없는 소리에 에루화 일 늦어간다
서산 마루에 해가 질런다
남은 뽕밭에 에루화 뽕이나 따주랴
뽕도 좋구요 그 맘도 좋으나
소문이 날까봐 에루화 나는 싫소
[최정순 노래, 리황훈 채보]
「뽕타령」 2
머리좋다 수단처녀 줄뽕남게 앉아우네
줄뽕갈뽕 내따주마 처권없는 내캉살자
알콤살콤 고운처자 울뽕 남게 앉아우네
울뽕줄뽕 내따주마 처권없는 내캉살자
비묻었네 비묻었네 진덕산에 비뭍었네
그 비가 비아니라 만군사들 눈물이라
[오향자 노래, 김봉관 채보]
뽕따러 갈거나 뽕따러 가세
어여쁜 처녀야 뽕따러 가세
옹혜야 옹혜 옹혜야 옹혜용
울싸마 좋습데
숨바숨바 숨바숨바요 내 사랑
[구룡화 노래, 리황훈 채보]
뽕따는 일에 빗대어진 사랑 노래이다.
한반도 남쪽의 「뽕타령」은 가야금 병창으로 더 유명한데, 이에 비해서 중국 한인[조선족] 「뽕타령」은 선율적으로 위 노래와 무관해서 중국 한인[조선족] 나름대로의 노래로 정착되어 있다고 하겠다.
일노래와 관련된 것이 서정 세태요[유희요]로 발전해 있는 점과 다양한 장단과 음구조로 노래불리는 점, 그리고 중국 한인[조선족] 민간 음악에 한반도 남쪽 전라도 지역의 음악적 특징을 담고 있는 노래의 수가 적은데 비해, 그 음계적 특징이 메나리조와 섞여서 변용되어 있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