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打令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한인[조선족] 사회에 전해지는 조선 전통의 민간 음악 곡조.
타령은 ‘타영(打咏)’이라고도 하는데 민중들이 일하면서 느끼는 다양한 정서적 체험을 즉흥적으로 읊조린 서정적 노래들을 통틀어 가리킨다. 신라 시대 유랑 가수들이 아름답게 수놓은 부채를 손에 들고 방울을 흔들면서 장단에 맞추어 노래를 불렀다고 해서 ‘타영’이라 칭했다고 한다. 타령이란 명칭은 사용 범위가 매우 넓어 민가, 기악곡, 장단의 명칭을 대체하기도 했으며 근대에 들어와서는 흔히 서정적인 정서가 짙은 민가의 제목 뒤에 타령이란 단어를 달아 서정 가요 개념의 대명사가 되었다. 타령의 전성기는 조선에 상품 경제가 발달하던 18-19세기로, 봉건제의 오랜 질곡에서 허덕이던 민중이 미래에 대한 동경을 담아 부른 노래들이 도읍이나 향촌에 신속히 파급되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타령은 여러 계층, 여러 지역에 보급되면서 오늘날까지 전승되어 오고 있다.
타령은 인간 생활의 여러 측면과 인민 대중의 미적 추구, 정감 세계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진실하게 반영하였다. 특히, 타령에는 인간의 애정 생활을 다룬 노래가 매우 많다. 「아리랑」 가요군이 가장 대표적이다. 기타 생활 정감을 담은 「수심가」, 「난봉가」, 「월령가」, 「풍경가」 등이 있다.
타령은 다른 음악에 비하여 서정성이 강하고 곡조가 풍부하고 섬세하다. 또한 절주, 조식, 곡식결구형식이 다양하고 여러 가지 정서를 잘 표현하였다. 타령의 음악 형식은 분절가의 체제를 많이 채용하였고 독창 위주이나 먹이고 받는 형식도 도입되었다.
타령의 음악적 표현 수법은 매우 다양하다. 첫째, 선율 진행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4.5도 진행을 중심으로 하여 곡선, 호선, 직선 등 강한 선율선을 이루고 있다. 「박연 폭포」, 「산천가」, 「창부 타령」, 「륙자배기」, 「수심가」 등이 이에 속한다. 둘째, 박절과 장단이 다양하다. 조선의 전통 음악 장단들이 타령에 거의 도입되었고 「수심가」처럼 박절구속을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셋째, 조식이 다양하고 풍부하다. 「뽕타령」, 「도라지」, 「양산도」 등은 평조를 취하고, 「오돌독」, 「내로구나」 등은 상평조를 취하며 「한강수 타령」, 「한오백년」 등은 계면조를, 「밀양 아리랑」, 「난봉가」 등은 하계면조를, 「애원성」, 「띠리리」 등은 평계면조를 취한다. 넷째, 형식과 결구가 다양하고 표현 방식이 섬세하며 음악 정서가 농후하다. 예를 들면 「아리랑」은 전렴+본렴 결구로 되어 있고 「박연 폭포」, 「산천가」는 본렴+후렴결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산도」, 「창부 타령」은 전렴+본렴+전렴 결구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렴 혹은 후렴은 같은 사사를 중복하나 본렴의 가사는 여러 절로 바뀌는 절가형식으로 된 것도 있으며 속도와 정서가 대비되면서 통일된 정체를 이루는 연쇄가곡 형식도 있는데 바로 「수심가」+「엮음수심가」, 「긴 난봉가」+「난봉가」+「잦은 난봉가」+「사설 난봉가」와 「민요연창」과 같은 형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