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全羅道 民謠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19세기 말부터 중국 동북 지역에 건너온 전라도 지역 이주민들에 의해 전승되어 온 노래.
전라도 민요는 남도 민요의 일종으로서 주로 조선의 전라도 지방에서 전해지다가 19세기 말부터 전라도 이주민들이 중국 동북 지역에 이주, 정착하면서 전라도 민요가 전승되었다.
대표적인 전라도 민요로는 「방아 소리」, 「베짜는 소리」, 「산타령」, 「개고리 타령」, 「농부가」, 「잦은 농부가」, 「륙자배기」, 「잦은 륙자배기」, 「긴 육자배기」, 「강강수월래」, 「강강술래」, 「자진 강강술래」, 「까투리 타령」, 「둥개 타령」, 「물레 타령」, 「날개 타령」, 「상사소리」, 「동백꽃 타령」, 「진도 아리랑」 등이 있다. 그 중에서 「륙자배기」는 전라도 민요의 특색을 잘 보여준다. 남녀 간의 연정을 담고 있으며 굴곡이 심하고 가락도 까다로워 특수한 소절이 없으면 부르기 힘들지만 전라도 지방의 남녀노소 모두 즐겨 부른다.
전라도 민요의 조식은 어둡고 침침한 감을 준다. “라, 시, 도, 레, 미, 솔”로 이루어진 ‘라’조식에 기초하고 있으며, 주로 우조식[계면조]을 많이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극적이며 굵은 목을 눌러내는 발성으로 무게 있는 정서를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판소리나 가야금 산조 장단과 같은 장단을 쓰는데 진양조 장단, 중모리 장단, 중중모리 장단, 자진모리 장단, 만장단 등을 사용한다. 또한, 전라도 민요는 선율이 전반적으로 느리고 서정적인 감을 준다. 전라도 민요는 선율구조에서 후렴구가 대체로 짧고 반복 진행을 많이 하지 않으며 처음에 제시된 선율에 끊임없이 변화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