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로

한자 火爐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조리 도구|난방 용품
재질 오지|무쇠|놋쇠|곱돌
용도 난방|조리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주로 불씨를 보존하거나 난방을 위해 숯불을 담아 놓는 그릇.

개설

화로는 계층 및 빈부의 차이와 상관 없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두루 쓰인 살림살이 중 하나였다.

연원 및 변천

화로는 화덕에서 비롯되었으며 등듸나 화투 또는 봉덕의 단계를 거쳐 완성된 기구이다. 등듸는 정주간에서 부엌으로 내려가는 한 끝에 진흙으로 쌓아 만든 것으로 땅바닥에 있던 화덕이 방 한 끝에 설치되는 첫 단계의 것이었다. 1999년에 조사된 화룡시(和龍市) 남평진(南坪鎭) 남평촌(南坪村)김태연[남성, 1924년생]의 집에는 작두를 넣어 두는 시설인 작두간 위에 등듸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형태

상류층은 놋쇠 화로나 백동 화로를, 서민층은 주로 질화로나 무쇠 화로를 사용하였다. 질화로는 자배기와 같이 둥글넓적하고 아가리가 벌어졌으며, 좌우 양쪽에 손잡이가 달려 있다. 무쇠 화로는 질화로와 비슷하나 손잡이가 밖으로 돌출되고 바닥에 세 개의 다리가 달려 있다. 놋쇠 화로는 세 개의 다리에 높은 굽이 붙어 있고, 비교적 넓은 전이 달려 있으며, 다리의 윗부분은 개다리처럼 약간 앞으로 돌출되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에서 가스가 식생활에 도입되면서부터 풍로, 화로 등은 자취를 감추기 시작하였다.

참고문헌
  • 박경휘, 『조선족 민속사 연구』(요령민족출판사, 1988)
  • 「부동한 력사 시기 조선족의 주택 상황」2 (중앙 인민 방송국 조선어 방송 http://www.krcnr.cn)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