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 연구』

한자 民謠 硏究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민요 관련 이론서
저자 조성일
표제 『민요연구』
저술 시기/일시 1983년
정의

조성일(趙成日)이 1983년에 펴낸 민요에 대한 종합 연구서.

개설

『민요 연구』는 1964년부터 조선족 민요를 수집했던 조성일(趙成日)이 펴낸 이론서이다. 1979년 3월부터 집필하여 1981년 12월에 글을 마무리하였으며, 서문에서 조선민족의 전통 민요에 대하여 문학적인 견지에서 체계적으로 서술 및 분석한 것이라 하였다.

구성/내용

『민요 연구』는 민요 개관·민요의 분류와 내용·민요의 형식·민요의 계승 사업을 다루고 있다.

제1편 민요 개관에서는 민요의 개념과 범위, 민요의 발전 과정 및 민요의 특징으로서 내용상·형식상·정착상 특징들을 서술하고, 민요와 다른 문학과의 관계를 논했다.

제2편에서는 민요를 분류하고 그 특징을 서술하였다. 그는 민요를 노동요·참요·기타 서정요·생활 세태요·애정요·세시 풍속요·동요·서사요로 나누었다. 생활 세태요의 경우 남성 생활요·여성 생활요·인정 세태요로 세분했으며, 애정요는 연정요·이별 상사요·충정요 그리고 아리랑을 별도로 넣었다.

아리랑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애정요로만 다루어 남녀 간의 연정이나 이별 상사의 정조만을 대상으로 한다면 이러한 아리랑 가요군에 들어가지 못하는 작품이 많기에 별도로 서술하였다.

아리랑의 다양한 지역적 전승과 함께 전승기원설로서 알령설·아랑설·아이롱설·아리랑설·아난리설 등을 소개하였다. 다음 세시 풍속요에는 무가와 민속 놀이요를 넣었고, 동요는 유희요·풍자 해학요·생활 세태요·어희요로 나누었다.

제3편은 민요의 형식으로서 민요의 구성과 형태, 민요의 운율, 민요의 언어와 표현 수법을 다루었다. 민요의 언어는 소박한 구두어, 생동한 형상성, 그리고 간결성과 개괄성을 언급했으며, 표현 수법으로는 비유법·댓구법·대조법·과장법·자문자답법·의성 의태법·물음법·감탄법·의인법을 예로 들었다.

마지막 제4편에서는 민요의 계승 사업에 대하여 민요의 사회적 가치, 민요의 제약성, 민요 유산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서술하였다.

의의와 평가

조성일은 1981년 김태갑과 공저로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민요 집성』을 출간한 바 있다. 『민요 연구』는 중국 한인[조선족] 연구자에 의해서 처음 서술된 이론서로서 조성일의 전 저서가 그러하듯이 민요에 대한 남다른 관심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조성일은 조선민족 민요의 연구 사업과 당대 시가 문학의 개화 발전에 힘을 보태려는 목적으로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현지 조사를 하였다. 문화 혁명이 끝난 후부터 수집한 자료를 정리하여 『민요 집성』을 엮고, 이후 『민요 집성』을 토대로 본 이론서를 집필한 것이다. 이에, 중국 조선족 민요에 대한 깊은 식견과 현장적 지식을 체득한 것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민요 전반과 조선족 민요의 문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서술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리상각, 『조선족구전민요집』(료녕인민출판사, 1980)
  • 김태갑·조성일, 『민요집성』(연변인민출판사, 1981)
  • 서영화·최준, 『민요곡집』(료녕인민출판사, 1982)
  • 연변문학예술연구소 편, 『조선족문학예술개관』(길림성출판국, 1982)
  • 중국음악가협회 연변 분회, 『민요곡집』(연변인민출판사, 1982)
  • 임범송·권철, 『조선족문학연구』(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9)
  • 북경대학 조선문화연구소, 『중국조선민족문화사대계7-민속사』민족출판사, 2000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