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禮單 |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예물 |
|---|---|
| 의례시기/일시 | 혼례시 |
중국 동북3성의 한인들이 혼사를 진행할 때 보내는 예물을 적은 종이.
예단(禮單)은 예물을 적은 단자(單子)를 말한다. 사례단(謝禮單)이라고도 한다. 보통 신랑의 집에서 혼례 하루 전에 혼수함에 넣어 보낸다. 이때 혼서지(婚書紙)와 채단(采緞)을 같이 넣는다.
혼수(婚需)란 결혼 후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물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과거 신랑이 신부집에서 기거하는 기간이 길었던 전통적 혼례 방식 하에서 혼수란 신랑측 집안이 신부의 집안에게 건네는 생활 충당 물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근래 들어 혼수는 신랑과 신부가 결혼과 함께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분담하여 준비하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중국 길림성(吉林省) 한인들의 예를 보면, 혼수는 매우 단출한데, 살림에 필요한 소래[양푼 모양의 큰 법랑 그릇]와 주방 식기류 및 이불, 옷감 등이 주를 이룬다. 신부가 시집 식구들에게 주는 예물도 특별한 것은 없다. 큰상을 차려가는 것이 고작이다. 특히 가난한 집은 형편상 호화로운 예물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1980년대에 들어 중국 동북3성 한인[조선족]들의 생활 수준이 점차 나아지면서부터는 혼수품들이 비교적 다양해지기 시작하였다. 신부는 시집 식구들에게 주는 선물로 옷이나 양말, 시계, 재봉틀 등을 가져오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