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례

한자 大禮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의례
정의

길림성 지역 한인의 전통 혼례 때 행하는 주된 의례.

개설

전통 혼례는 대례(大禮)와 후례(後禮)로 나눌 수 있다. 대례는 결혼례를 행할 대 가장 중심적인 의례 절차로 신랑이 신부의 집으로 가서 연행하게 되는 모든 절차를 의미한다.

절차

전통 혼례의 일반적인 순서는 의혼·납채·연길·납폐·대례·견구고례(見舅姑禮) 순으로 연행되지만 현재의 중국 요령성 지역 한인의 혼인 순서는 옛 혼례와는 차이가 보인다. 순서대로 기술하자면 함 보내기·전안례·큰상 받기·달걀 먹기·사돈 잔치·상 물리기·시집가기·신부 도착·신부 큰상 받기·큰상 물리기·사돈 잔치 순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절차가 끝난 뒤 신랑측에서는 신부가 받은 큰 상의 음식을 싸가고 돌아가고, 이어서 신부집에서 신랑측에 인사하러 가는 과정이 따른다.

혼례식을 마친 뒤에 신랑이 큰 상을 받는다. 신랑과 신부가 잔치날에 받는 음식상은 길이와 너비가 각기 10자 정도로 크기 때문에 그것을 큰 상이라 부른다.

참고문헌
  • 『중국 길림성 한인 동포의 생활문화』(국립 민속 박물관, 1996)
  • 연변 조선족 례의 연구회(http://blog.chosun.com/sy10088)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