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嬰兒의 健康 長壽를 爲한 風俗 |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산후 풍속 |
|---|---|
| 의례시기/일시 | 산후 |
중국 동북3성의 한인 마을에서 새로 태어난 아이의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풍속.
한인들의 해산 후 풍속 중에서, 영아가 오랫동안 건강하기를 기원하는 풍속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우선 한인 여성들은 일단 해산하면 출입문 위의 처마 밑이나 대문 어귀에 금줄을 친다. 금줄은 왼쪽으로 꼰 새끼줄로서 외부인의 출입을 금지하기 위한 것이다.
남아를 낳으면 금줄에 고추와 숯을 꽂아놓고, 여아를 낳으면 숯과 미역 꼭지를 꽂아놓는다.
아이는 매일 한 번씩 따뜻한 물에 목욕을 시켜준다. 여름철에 땀띠가 돋아나면 ‘보안개풀’이라는 약초를 뜯어다가 달여 아이의 몸을 씻긴다. 갓난아이를 깨끗이 씻긴 후 포대기에 싸서 선반 위에 올려놓았다가 내리기도 한다. 또한 갓난아기를 자리에 눕힐 때는 정수리 부위에 베개를 받쳐서 머리가 제대로 자리잡히게 한다.
어린 아기의 아명을 지을 때 ‘똥돌이’·‘송아지’·‘외양소’·‘개똥애’·‘조양애’·‘누가’ 등과 같은 괴상한 이름을 짓는 경우가 있다. 이 또한 아이의 건강과 장수를 위한 것인데, 이 중에서 ‘누가’라는 아명은 귀신이 아이를 잡으러 왔다가도 그 아이가 도대체 누구인지 몰라 잡아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기가 출생하여 7일이 되면 매일 아침마다 할머니나 외할머니가 ‘삼신할머니’에게 기도를 드린다. 쌀 한 그릇, 미역 한 묶음, 정화수 한 그릇을 상 위에 놓고 그 앞에 꿇어앉아 “우리 아기 삼신 만나 먹고 자고 먹고 자고 잘 자라게 하여 주소서”하며 비손한다.
산모가 일하다가 아기에게 젖을 먹일 때는 ‘단젖’을 먹이면 속탈이 생긴다 하여 젖을 먼저 조금 짜 버리고 나서 먹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