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三虞祭 |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유형 | 의례/제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의례 |
|---|---|
| 의례시기/일시 | 임종 후 |
중국 동북3성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상례 절차 중 장사를 지낸 뒤 망자의 혼백을 위로하기 위해 지내는 제사.
우제(虞祭)는 장례를 치른 후 제일 처음 지내는 제사로, 혼백을 위로하기 위한 것이다. 한인들은 우제를 후토제를 대신하는 제사로서 이해하기도 한다. 우제는 초우제(初虞祭), 재우제(再虞祭), 삼우제(三虞祭)로 이루어진다.
초우제는 장례 당일 시신을 안장하고 집으로 혼백을 모셔와 지내는 제사이다. 흔히 반혼제(返魂祭)라고 한다. 재우제는 초우제를 지낸 후 유일(柔日)에 지낸다. 유일은 을(乙), 정(丁), 기(己), 신(辛), 계(癸)의 날이다. 삼우제는 재우를 지낸 후 강일(剛日)에 지내는데, 강일은 갑(甲). 병(丙). 무(戊), 경(庚), 임(壬)의 날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족 사회에서는 우제 자체가 매우 간소화되어 초우제와 재우제를 지내지 않고, 사흘째 무덤에 가서 제사를 지내는데 이를 일컬어 삼우제라 한다.
삼일 째 되는 날에는 지방과 제수, 제상을 가지고 묘지에 올라가 제사를 지낸다. 이때에는 여자 상주들도 간다. 제사 지내는 절차는 상주들이 술을 붓고 세 번씩 절을 한다. 한 명씩 절을 하느라 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있지만 참가자가 함께 절을 하여 시간을 단축하기도 한다. 제사 후에는 묘 앞에서 효장, 댕기, 지방을 모두 태운다. 이로써 초상을 치른 셈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