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여

한자 喪輿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장례 물품
재질 나무
용도 시신 운반
정의

중국 동북3성의 한인들이 상례 때 시신을 운반하는 제구.

개설

상례 때 사용하는 운반구는 시신을 운반하는 상여와 혼백을 운반하는 영여(靈輿)로 나누어진다. 이 둘을 통칭하여 상여라고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앞의 것만을 이른다.

영여는 2인교 가마를 메듯이 끈을 가위표로 엇걸어 어깨에 걸고 두 손으로 가마채를 잡고 상여에 앞장서서 가는 작은 가마이다. 여기에는 혼백 상자와 향로, 영정 등을 실어 영혼이 타고 가는 제구임을 상징한다. 오늘날에는 영여 대신 죽은 이의 사진을 어깨에 걸고 상여 앞에 서는 일이 많고, 요령잡이는 없다.

형태

상여의 모양은 가마와 비슷하나 더 길다. 몸채 좌우에는 밀채가 앞뒤로 길게 뻗어 있어 양쪽 끝에 채막대를 가로로 대고, 앞 채막대 좌우로 2줄씩 끈을 달아 뒤 채막대에 붙잡아 맨 다음,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멜방망이를 좌우로 끼워 그 사이에 사람이 들어가서 끈을 어깨에 멘다. 몸채는 여러 가지 화려한 색깔로 채색한 단청을 사용하고, 4귀에는 기둥을 세우고 위로 포장을 쳐 햇빛을 가린다. 상여 뚜껑은 연꽃·봉황 등으로 장식한다.

상여는 한옥 모양의 직육면체 바탕인데 관을 넣을 수 있게 하고 지붕은 흰색으로 칠하였다. 양쪽 옆으로는 용의 모습을 새겼다. 용은 관운장이 타고 조조가 비는 형상을 새겨 넣는다. 그런가 하면 정강 틀에 나무로 만든 새나 오리, 도깨비 등을 달아 장식을 한다. 또한 관에 촘촘하게 짠 천을 씌우고 여기에 흰 꽃으로 장식을 하기도 하였다

대개 상여틀은 분해·조립할 수 있도록 만든다. 옛날에는 마을마다 상여 한 틀을 공동으로 마련하여, 동네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상여집을 두고 그곳에 보관하였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상여는 상례에서 시신을 운반하는 제구로서 ‘황디’라고도 하는데 문화 혁명으로 인해 없어질 때까지 각 마을의 공용물로 보관하였다.

대부분의 한인[조선족] 마을에서는 문화 혁명 때 상여를 없애버렸다. 간혹 문화 혁명 이후에 다시 만든 곳도 있으나 민속 개혁 운동을 추진하면서 없애버렸다고 한다.

참고문헌
  • 조성일, 『조선 민족의 민속 세계』(한국 문화사, 1996)
  • 『중국 길림성 한인 동포의 생활문화』(국립 민속 박물관, 1996)
  • 『중국 요령성 한인 동포의 생활문화』(국립 민속 박물관, 1997)
  • 『중국 흑룡강성 한인 동포의 생활문화』(국립 민속 박물관, 1998)
  • 김선풍·정형호 외, 『재중 교포의 민속-경기 출신 집단마을 조사 보고서-』(국립 문화재 연구소, 2002)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