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장

한자 埋葬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의례
의례시기/일시 임종 후
정의

길림성 지역 한인의 상례 절차 중 관(棺)을 장지에 묻는 의례 절차.

개설

전통적 상례 과정 중에서 관을 장지에 묻는 의례 절차가 매장이다. 영구가 장지에 도착하면 파놓은 광중에 관을 내리고 관 위에다 명정을 덮는다. 그 앞에 간단하게 상을 차려 술을 올리고 절을 한다. 그 후에 ‘봇칡’이라고 하는 잘 썩지 않는 나무껍질로 관을 싸 덮는다. 장남이 관의 네 귀퉁이에 취토를 한 후 다른 사람들도 흙으로 덮어 매장을 마친다. 가족에 따라 초혼한 옷을 관과 함께 매장하기도 하고 묘자리에서 태우기도 하며, 관이 집을 떠날 때 마을의 입구에서 태우기도 한다. 매장이 끝나면 후토제를 지낸다. 매장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올 때는 뒤를 돌아보지 않는다.

절차

요즘 중국 지역 한인의 매장 관습은 관을 매장하는 것이 아니라 화장 후 골회함을 광중에 묻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광중은 골회함이 들어갈 만한 조그마한 크기의 사각형으로 미리 파 준비한다. 12시 정오에 골회함을 넣고 영정으로 덮은 다음 상주가 광중의 네 귀퉁이에 부드러운 흙을 놓고 덮는다. 봉분을 만들 때 ‘떼’[잔디]는 입히지 않으며 곡도 하지 않는다. 덜구질을 하는 것도 아니고 덜구 노래도 없다.

한때는 봉분을 금지시켰는데 요즈음 산에서는 이에 대한 엄격한 통제가 없기 때문에 봉분을 조성하기도 한다. 봉분을 조성하면 전면에 평평한 돌로 제상을 만든다. 그 위에다 떡, 과일, 술, 향을 올린 뒤 세 번씩 절을 하고 집으로 돌아온다.

영정은 골회함과 함께 무덤에 넣지만 지방은 그대로 간직해 집으로 가져온다. 망자의 맏손자가 있으면 그가 지방을 모시고 오는 것이 상례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맏아들이 모시고 집으로 온다. 돌아오는 길에 뒤를 돌아 묘를 보는 것은 금기시되어 있다. 지방을 모신 손자가 집에 도착하면 식구들이 대문 밖에 나가서 맞이하며 곡을 하고 뒤따라 들어온다.

참고문헌
  • 『중국 길림성 한인 동포의 생활문화』(국립 민속 박물관, 1996)
  • 『중국 요령성 한인 동포의 생활문화』(국립 민속 박물관, 1997)
  • 『중국 흑룡강성 한인 동포의 생활문화』(국립 민속 박물관, 1998)
  • 김선풍·정형호 외, 『재중 교포의 민속-경기 출신 집단마을 조사 보고서-』(국립 문화재 연구소, 200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