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제

한자 忌祭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의례
의례시기/일시 기일
정의

길림성 지역 한인들이 대상(大祥)을 마친 뒤, 매년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제사.

개설

매년 기일에 지내는 제사를 기제라 하는데, 삼년상을 치렀다면 초상으로부터 4주기가 되는 해부터 매년 돌아가신 날에 지내게 된다. 기제는 돌아가신 날 자정에 지내는데, 형편에 따라 자정 전에 지내기도 한다.

절차

기일이 되면 전날부터 제수 준비에 만전을 기한다. 신주(神主)를 모시지 않는 집은 지방(紙榜)으로 대신한다.

제사를 올리는 시기가 되면 준비한 제수를 진설(陳設)하고, 돌아가신 이를 맞이하는 강신례(降神禮)를 올린다. 주식이 되는 음식들을 진찬(進饌)하고 초헌(初獻)·아헌(亞獻)·종헌(終獻)의 예(禮)를 갖춘다. 초헌 뒤에는 축관이 독축(讀祝)한다.

차린 음식을 흠향(歆饗)하시도록 합문(闔門)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 계문(啓聞)한 뒤 숭늉을 올리고 모신 이를 보내는데 이를 사신(辭神)이라 한다. 이후 모든 참례자들이 음식을 내려 음복(飮福)하는 것으로 마친다.

오늘날 중국의 한인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제사의 관습이 거의 행해지지 않는다.

연원 및 변천

조상에 대한 제사는 명절에 산소를 찾아 정성을 드리는 것으로 거의 대체되었고, 그 대상도 부모 세대 정도로 한정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화장이 일반화된 뒤로 묘지도 없어진 경우가 많은데, 이는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을 거치면서 제사나 조상 숭배를 봉건 미신의 잔재라고 선전한 중국 정부의 영향이 크다.

참고문헌
  • 『중국 길림성 한인 동포의 생활문화』(국립 민속 박물관, 1996)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