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헌

한자 初獻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의례
의례시기/일시 제사 연행시
정의

중국 동북3성으로 이주한 한인(韓人)이 제사에서 첫 술잔을 신위 앞에 올리는 절차.

개설

초헌(初獻)은 제사 과정 중 첫 술잔을 올리는 의례로 초헌례(初獻禮)라고 하며 잔을 올리는 사람을 초헌관(初獻官)이라 한다. 초헌관이 신위 앞에 꿇어앉으면 집사자(執事者)가 잔을 넘겨주고 술을 부어 잔을 채운 다음 다시 넘겨받아 제상 위에 올린다.

절차

제사는 가가례(家家禮)라 하여 집안마다 방식이 다른 경우가 많은데, 조사된 중국 동북3성 지역 한인[조선족]의 사례를 보면 술잔을 향 위에서 세 번 돌려 올리는 경우가 있고, 잔에 술을 채운 후 제상에 그대로 올리지 않고 모사기에 나누어 부은 후 빈 잔을 올리는 경우도 있다.

초헌관이 헌작한 후에 바로 배(拜)를 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독축(讀祝)하고 이후에 절을 하는 사례도 있다. 절을 하는데 있어서도 두 번 한다는 설도 있고, 세 번을 해야 한다는 경우가 있어 모두 다른 방식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 『중국 길림성 한인 동포의 생활문화』(국립 민속 박물관, 1996)
  • 연변 조선족 례의 연구회(http://blog.chosun.com/sy10088)
  • 중국 조선어 인터넷 방송(http://korean.cntv.cn)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