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降神 |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의례 |
|---|---|
| 의례시기/일시 | 망자의 기일 혹은 생일 |
길림성 지역 한인이 조상신을 불러 모시기 위해 향을 피우고 술을 따라 모사(茅沙) 그릇에 붓는 절차.
기제사(忌祭祀)나 생일제(生日祭) 등 대부분의 제사를 지낼 때 연행하는 첫 절차로 조상을 모시기 위해 향을 피우고 술을 따라 모사 그릇에 나누어 붓는 절차를 말한다.
제주(祭主)가 향에 불을 붙여 피우고 잔에 술을 담은 후 향 위에서 세 번 돌린 후 모사 그릇에 세 번에 걸쳐 조금씩 나누어 붓는다. 그리고 참례자 모두가 제주를 따라 두 번 절을 한다. 실제 제사 연행 과정 중 이 절차는 오늘날 거의 지켜지지 않고 있다.
오늘날 중국에서 한인들의 제사 절차는 극히 간소화되었다. 축문(祝文)을 짓거나 전통적 제사 절차를 그대로 행하는 이는 거의 없다. 전통적인 제사 관습에는 사당(祠堂)에서 출주(出主)를 통해 혼백을 모셔오지만, 오늘날 이 절차는 거의 사라지고, 바로 강신(降神)부터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조차도 지금은 잘 지켜지지 않으며 진설(陳設) 후 바로 초헌례(初獻禮)를 행하는 경우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