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현 인민 정부

한자 安圖縣 人民 政府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홈페이지 http://www.antu.gov.cn
설립 시기/일시 1910년 1월 16일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3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4년 6월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29년 1월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6년 3월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6년 5월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8년 3월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5년
현 소재지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명월진 구룡가 용안로 42호
정의

1910년 1월 16일에 최초로 설치된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안도현(安圖縣)의 최고 행정 기관.

개설

안도현 인민 정부는 연변조선족자치주 서남부에 위치한 현으로 넓이는 7438㎢이며, 한족과 한인[조선족] 등 15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천

안도현 일대는 청(淸)대에는 만주족의 발상지라는 이유로 1881년까지 200년간 봉금되었다. 1868년 이래 월경하는 한인들이 점차 증가하여 1909년에는 이도강(二道江) 일대에만 280여 호에 달하였다. 1909년 12월 6일 동북 3성 총독 석량(錫良)이 현을 설치할 것을 주청하였고, 1910년 1월 16일 허가를 받아 안도현으로 명명하였다.

홍기하구(紅旗河區)에 치소를 두었다가 후에 경비 부족으로 낭낭고(娘娘庫)(지금의 송강진(松江鎭))로 바꾸어서 봉천성(奉天省) 장백부(長白府)에 예속하였다. 1913년 안도현을 봉천성 동로(東路) 관할로 했다가 1914년 6월 봉천성 동변도(東邊道)에 속하게 했다. 1929년 1월에는 요령성(遼寧省)에 예속되었다가 동북이 함락된 후 간도성(間島省)에 속했고, 1946년 3월 길동분성(吉東分省)에 예속되었다. 같은 해 5월에는 길동분성이 연변조선족자치주, 길동(후에 길돈(吉敦)으로 변경) 2개 전구로 나뉘었고, 안도현은 길동전구에 속했다.

1947년 10월 11일에는 길돈(吉敦), 연변 2개 전구를 합병하여 길동전구라 했다. 1948년 3월에는 길동전구가 연변전구가 변경되었다. 1952년 9월 3일 연변조선족자치구가 성립되었으며, 1955년 자치구가 자치주로 바뀌어 안도현을 관할하여 지금에 이른다.

현황

안도현은 2011년 총 생산액이 51.3억 위안으로 2006년 대비 1.2배, 연 평균 17% 성장하여 성(省) 내 현 지역 종합 순위가 35등에서 28등으로 상승했다. 현내 경지 면적은 27,174㏊로 그 중 밭은 23,926㏊, 논은 3,248㏊이며 주로 벼, 옥수수, 콩 등의 농작물을 생산한다.

2011년 농촌의 총 수입은 5.5억 위안에서 10억 위안으로 연 평균 12.7% 성장했다. 2010년 총 인구는 217,333인으로 그중 한족이 78.14%이고, 한인[조선족]은 41,177인으로 18.95%를 점유하며 주로 명월진, 석문진, 양병진(亮兵鎭)에 분포한다. 북한양강도 삼지연군과 육로로 통하며 국경선의 길이는 33.7㎞이다.

의의와 평가

안도현은 33.7㎞의 국경선을 함께하는 북한양강도 삼지연군과 육로로 통한다. 현재 인구의 18.95%를 한인[조선족]이 차지하는 등 한반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안도현 인민 정부(http://www.antu.gov.cn)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