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勃利縣 朝鮮族 中學校 |
|---|---|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흑룡강성 칠대하시 발리현 성서가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학교 |
|---|---|
| 설립자 | 이원해 |
| 전화 | 0464-8521093 |
| 홈페이지 | http://qthblcz.am89.com |
| 개교 시기/일시 | 1947년 3월 1일 |
| 개칭 시기/일시 | 1950년 |
| 개칭 시기/일시 | 1983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8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3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8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6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7년 10월 14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4년 3월 6일 |
| 최초 설립지 | 중국 흑룡강성 칠대하시 발리현 발리진 북단 |
흑룡강성(黑龍江省) 발리현(勃利縣) 발리진(勃利鎭) 성서가(城西街)에 있는 조선족 학교.
발리현 조선족 중학교의 교훈은 자존, 자애, 자립, 자강이다.
발리현 조선족 중학교는 1947년 3월에 이원해에 의하여 북일중학교로 설립되었다. 1948년에 당지 한족중학[현재의 발리 1중]에 합병되었고, 강려중학교와 화남중학교 조선족반도 합병되어 발리현민족연합중학교가 되었다.
1949년에 발리민족연합중학교 조선족부가 설립되고 1950년에 송강성 발리현조선족초급중학교로 독립하였다. 그해 탕원현 중학교조선족반과 임구현 조선족중학반을 합병하고 발리조선족초급중학교라 하였다. 그리하여 학군이 합강지구(合江地區)의 3개시, 9개현과 목단강 지구(牡丹江地區)의 임구현(林口縣)까지 확대되었다.
1958년부터 고급 중학생을 모집하면서 완전 중학교로 발전하였다. 1967년 발리현 조선족 소학교를 통합하여 9년 일관제 학교로 되었다가 1978년에 다시 소학부를 독립시켰다.
1983년에 행정구역의 변동에 의하여 합강지구 조선족 중점 학교로부터 칠대하시(七臺河市) 중점 학교로 되었다. 1987년에는 학생 837명, 교사 62명이었다.
발리현 조선족 중학교는 다양한 방면의 인재를 양성하고 특색 있는 학교로 운영하기 위하여 흑룡강성 민족 중학교 가운데서 가장 먼저 내부관리 개혁을 진행하였고, 독창적인 ‘MFH학교관리방법’을 도입하였다.
1978년에는 합강지구중점중학, 1983년에는 칠대하시중점중학, 1988년과 1996년에는 『전국저명중학』, 『전국중점중학통람』에 수록되었다. 1983년 이래로 모두 17명이 북경대학과 청화대학에 진학하였다. 발리현 유일의 빙상운동장이 있는 학교로 성급빙상활동중심으로 연속 5년간 성급 백만청소년빙상활동 선진학교 칭호를 받았다.
2007년 10월 14일에는 ‘발리현 조선족 중학교건교60주년경축행사’를 진행하였다. 한편 전통을 계승하기 위하여 2012년 널뛰기와 그네뛰기 설비를 연변에서 구매하여 민족 체육 교육 과정을 개설하였고, 교과 과정에 민족전통음악과정을 개설하였다.
2014년 3월 6일에는 가목사조선족중학에서 가목사조중, 화천조중, 나북조중, 발리조중, 발리조소 등 5개의 학교가 모여 ‘흑룡강 동부지구 소수민족 5교 교학연합체’의 성립 대회를 개최하고교학 협조 및 공동 발전 원칙, 매학기 말에 한차례씩 연합 표준화 시험을 치기로 결의하였다.
2014년 기준 발리현 조선족 중학교의 교장은 정창국, 학생은 128명, 교직원은 44명이다. 학교 부지 면적은 22,500㎡, 건물 면적은 3,142㎡, 실험실 면적은 1,000㎡, 기숙사 면적은 2,30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