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룡시 제3 중학교

한자 和龍市 第3 中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문화가 89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전화 0433-4236754
홈페이지 http://hledu.cc:88/General
개교 시기/일시 1965년 8월
개칭 시기/일시 1968년 8월
개칭 시기/일시 1971년 9월
개칭 시기/일시 2007년 8월
현 소재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문화가 89호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화룡시(和龍市) 문화가에 있는 조선족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화룡시 제3 중학교의 학교 운영 이념은 교수 방법의 심화, 창의적 교육 추진, 교학 관리의 규범화, 교육 질의 향상에 두고 있다. 교육 목표는 개성을 가지고, 한인[조선족]의 미덕과 전통을 이어받은 훌륭한 인재로 양성하는 것이다.

변천

화룡시 제3 중학교의 전신은 1965년 8월에 건립한 화룡현 화룡진 직업 중학이다. 1968년 8월에는 7.27 중학이라고 개칭하였다. 1971년 9월부터 화룡 3중이라고 개칭하였다. 그 후 지속적인 발전으로 2007년 8월 화룡시 정부에서는 교육자원의 최적화 분포를 위해 화룡 3중, 화룡 5중과 남평 중학교를 통합시키고 학교명을 화룡시 제3 중학교로 개칭하였다. 이로부터 화룡시 시내와 주변 부분 농촌의 한인[조선족] 학생들의 교육을 담당한 유일한 시 직속관할 하의 조선족 초급교로 자리매김하였다.

교육 활동

화룡시 제3 중학교는 「국가의 중장기 교육 개혁 및 발전 요강」의 지도 아래에 교수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많은 노력을 하였다. 이에 따라 교학 연구와 과제 연구를 통해 교사의 질을 제고하여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학습 부진 학생들에 주목했고, 학생들이 자기주도 학습과 협동 학습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도했다. 또한 특색이 있고 학생과 학부모들이 모두 안심할 수 있는 사회 만족형 학교를 만들도록 노력했다. 그 결과, 화룡시 정부로부터 다양한 영예를 수여받았을 뿐만 아니라 연변주 교육국으로부터 연변조선족자치주 교육계통 선진 단체·전주 교사 평생교육 사업 선진 단체·민족 단결 모범 단체로 선정되었고, 길림성 인민구비금상단위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현황

화룡시 제3 중학교화룡시와 주변 지구의 한인[조선족] 학생 교육 교학 임무를 맡고 있는 유일한 조선족 초급 학교로 되었다. 현재 학교 건물의 총 면적은 6,169㎡이고, 2,900㎡에 달하는 학생 기숙사와 식당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학교에는 멀티미디어 교실, 민족문화 교실 등이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다.

참고문헌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현황지』(연변교육출판사, 2005)
  • 『연변조선족자치주 교육지(1989~2006)』(연변조선족자치주교육국 편, 2008)
  • 연변조선족자치주 교육국(http://www.ybedu.net/web2/)
  • 동북조선족교육과학연구소(http://www.dbcjyky.net/)
  • 화룡시제3중학(http://hledu.cc:88/General/)
  • 화룡시교육정보넷(http://www.hledu.cc/Index.html)
  • 길림성민족교육넷(http://www.jlmj.net/)
  • 중국조선족중소학교교육자원넷(http://www.koreannet.cn/)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