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安圖縣 敎員 硏修 學校 |
|---|---|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용안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교원 연수 기관 |
|---|---|
| 전화 | 0433-5823727 |
| 홈페이지 | atsw.30edu.com |
| 개교 시기/일시 | 1959년 10월 |
| 개교 시기/일시 | 1972년 |
| 폐교 시기/일시 | 문화대혁명 시기 |
| 이전 시기/일시 | 1976년 |
| 이전 시기/일시 | 1983년 |
| 최초 설립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용안로 |
| 현 소재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용안로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안도현(安圖縣) 용안로(龍安路)에 위치한 교원 연수 기관.
안도현 교원 연수 학교는 “안도(安圖)를 향하고, 안도를 연구하고, 안도에 봉사한다”는 ‘3봉사’를 운영 방침으로 내세우고, “단결하고 실속 있고 부지런히 공부하고 창조적인” 교풍을 실천하고자 한다.
안도현 교원 연수 학교는 1959년 10월 완전 소학교 원내에 문을 열어 현(縣)의 문화교육과가 관리하였는데 교직원은 8명이었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 안도현 교원 연수 학교는 폐교되었다가 1972년 회복되어 현(縣)의 무장부에서 방 한 칸을 빌려 사무실을 마련하였는데 교직원은 11명이었다. 1976년 안도현 교원 연수 학교는 송강(松江)으로 이전하고 2층의 새로운 건물을 세웠다. 당의 11주 3중 전체 회의 이후에 교사 양성은 점차 규범화의 길을 걸었다. 1983년 안도현 교원 연수 학교는 명월구로 이전하였다.
안도현 교원 연수 학교는 소수 민족 지역의 민족 연합 학교로서 산간 지역 교육 수준의 새로운 단계로의 진입을 위해 공헌하고 있다. 1965년 7월부터 소학교 교사 양성반 3기와 중등 통신 교육반 1기를 개최하였는데 400여 명이 학습에 참가하였고 360명이 수료증을 받았다. 1975년 교사 단기 양성반 7기를 운영하여 210명의 교사를 양성했다.
안도현 교원 연수 학교는 현(縣)의 중학교·소학교의 정치과·어문과 교육활동 5차례, 연변조선족자치주 중국어, 3산 교육 연구토론회 각 1차례를 개최하였다. 민족 교육의 향상을 위하여 연변 출판사와 함께 『한국어 글자 교본』을 편찬하고 전국 조선족 소학교에 배포하였다.
안도현 교원 연수 학교는 1985년부터 중등 통신교육, 중등 통신교육 근무지 외 반, 중등 사범 학교 외 반, 단기 학습반, 교사 연수반 등을 20여 차례 운영하여 2,000명의 교사가 참가하였다. 지도 간부 양성반 10기, 교장 양성, 지도 주임은 1,000여 차례 운영하였다. 연변 사범 학교 안도 분교를 대신하고 수강생 77명, 성(省)의 통신교육 협조를 얻어 실시되고 있는 고등 통신교육 졸업생이 483명이다.
안도현 교원 연수 학교는 2011년 현재 총 면적 94,259㎡에 건축 면적은 35,207㎡이다. 중학부·소학부·종합부·전자교육부 등 4부와 대조 처리·사무실 등 2실로 구성되어 있는데 교직원은 57명이다. 안도현 교원 연수 학교는 도서실·열람실·자료실·문서실·전산실·시청각 교육 연구실·어학실·종합 실험실·음악실·합반 교실 등을 갖춘 성(省) 규정의 표준학교이다. 10년 동안 현(縣) 전체의 소학교 교사 1,016명을 양성하여 중등 사범 학교 졸업증을 획득하였다. 안도현 교원 연수 학교는 “일부와 전체를 아울러 돌보다”를 내걸고 5년 동안 현(縣)의 모든 중학교, 소학교가 9차 지도를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