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룡시 두도진 신흥 소학교

한자 和龍市 頭道鎮 新興 小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두도진 북산가 116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학교
설립자 박기평, 김성운
개교 시기/일시 1913년
개칭 시기/일시 해방 전
개칭 시기/일시 해방 전
개칭 시기/일시 해방 전
개칭 시기/일시 해방 후
개칭 시기/일시 해방 후
개칭 시기/일시 해방 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3년 11월 8일
최초 설립지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현 소재지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두도진 북산가 116호
정의

1913년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두도진에 설립된 조선족 소학교.

변천

화룡시 두도진 신흥 소학교의 전신은 1913년에 반일 지사 박기평, 김성운의 발기로 두도구에서 약 2㎞ 떨어진 신흥동에 세워진 신흥 서당이다. 초기 책임자는 박기평, 학생은 18명이었다.

그 후 교명은 해방 전에 신흥학교, 민성 학교, 유신 학교 등으로 바뀌었고 광복 후 신흥학교가 재건후에는 화룡현 제1구 제5 중심 학교, 두도구 제5 완전 중심 소학교, 두도진 제1 중심 학교 등으로 개칭되었다.

1958년에는 학생 1,400여 명, 교원 70여 명에 달하였다.

교육 활동

화룡시 두도진 신흥 소학교는 주둔 부대와 손잡고 전국에서 유일한 조선족 소년 해군 학교를 가지고 있다. 부대에서는 장병을 정기적으로 파견하여 학생들에게 혁명전통교육과 국방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대열, 경무기분해와 조합, 사격, 군사격투 등의 훈련과 사생을 조직하여 여순 해군 기지에 가서 군사하령영을 진행하고 있다. 본교의 사적은 차례로 『인민 일보』를 비롯한 많은 신문 잡지에 보도되었으며 또한 중앙 인민 방송국과 중앙 텔레비전 방송국을 비롯하여 성, 주 방송국에서 여러 차례 보도하였다.

본교는 성 예술 전통 학교, 체육 전통 학교로 명명되고 성 문명 단위, 옹군애민 선진 집체로 표창을 받았다. 교원들 중에서 전국 교육계통 노력모범, 성 우수 교원 등 많은 우수 교원과 사업일군들이 배출되었다. 최근에는 청년 교원들 중에서 26명이 차례로 시 최우수 수업담당자로 평의되고 주급 경연에서 5명 교원이 표창을 받았다.

2013년 11월 8일 오후에는 교사와 학생 전체가 생활체험을 통해 수확의 기쁨을 맛보기 위해 1차 사회실천체험활동을 옥수수밭에서 진행하여 농민들의 옥수수 수확을 도왔다.

본교는 건교 이래 졸업생 76회에 13,000여 명을 배출하였다.

현황

화룡시 두도진 신흥 소학교에는 실험실, 컴퓨터실, 언어 실험실, 다공능실, 음악실, 미술실, 소선대 활동실, 의무실, 도서실 등이 구전하게 갖추어져 있으며 15무의 농업기지, 30ha의 낙엽송림지가 있다.

참고문헌
  • 延邊朝鮮族自治州教育志編委會, 『延邊朝鮮族自治州教育志-1715~1988』(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2)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현황지』(연변교육출판사. 2005)
  • 『연변조선족자치주 교육지(1989~2006)』(연변조선족자치주교육국 편, 2008)
  • 길림성교육정보(http://www.jledu.gov.cn)
  • 길림성민족교육망(http://www.jlmj.net)
  • 동북조선족교육과학연구소(http://www.dbcjyky.net)
  • 연변 교육 정보 네크워크(http://www.ybedu.net)
  • 중국 조선족 중소 학교 교육 교학 자원넷(http://www.koreannet.cn)
  • 화룡교육정보(http://www.hledu.cc)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