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敦化市 賢儒鎭 朝鮮族 學校 |
|---|---|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현유진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학교 |
|---|---|
| 홈페이지 | http://www.dhedu.com.cn/xrc/default.asp |
| 개교 시기/일시 | 1935년 |
| 개칭 시기/일시 | 1956년 |
| 개칭 시기/일시 | 1978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0년대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0년대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0년대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1년 8월 27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1년 8월 27일 |
| 최초 설립지 |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현유진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돈화시(敦化市) 현유진(賢儒鎭)에 있는 조선족 학교.
돈화시 현유진 조선족 학교의 교육 목표는 민족의 미래를 짊어지고 갈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우리가 가고자 하는 길을 가자', 학풍은 '인간의 기억은 언어와 문자에', 교풍은 '희망과 기쁨을 전하자'이다.
교학 이념[辦學理念]은 '모든 것은 학생들의 미래를 위하여', 교학 목표[辦學宗旨]는 '민족문화를 발양하자'이다.
교훈(警示語)은 ‘한 민족의 미래는 교육에 달려있다. 우리의 전통 문화 스스로 이어가고 지켜 가자.’이다.
돈화시 현유진 조선족 학교는 1935년 조선족 학교의 필요성에 따라 마을사람들의 지원을 받아 설립하였다. 당시 학교명은 돈화현 공립 남황리하 국민 우급 학교였고, 교장은 강일룡이었으며, 학교 규모는 학생 150명, 교사 6명이었다. 학교는 설립되자마자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1937년 공립학교가 되었다.
광복 후에는 구 중심 소학교로 승격시켰고, 1956년에는 돈화현 남황리하구 제4구 현유향 제2 완전 소학교로 고쳐 불렀다. 인근의 삼도, 태평산, 혁신 등에 분교를 두어 운영하였다.
1978년 길림성 돈화시 현유 조선족 학교로 개칭하면서 9년제 학교가 되었다. 1981년에는 학생 292명, 교사 28명에 달했다.
돈화시 현유진 조선족 학교는 농촌에 있는 학교인 만큼 자주적 운영을 위해 노력해 왔다. 1980년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의 교사 관리 우수 학교, 근공검학 우수 학교로 표창을 받았고, 여러 차례 우수 학교라는 영예를 받았다. 이 뿐만 아니라 9년제 의무교육을 자체 상황에 맞게 실시하여 돈화시 교육위원회로부터 표창을 받았고, 학교 관리 강화를 강조하여 학교 사업이 상당히 체계적인 학교로 인정받았다.
2011년 연변조선족자치주 성립 59년을 맞이하여 2011년 8월 27일 돈화시 현유진에서 개최된 9·3 추계 구기종목 대회[九三秋季球類運動會], 현유진 19개 대표, 324명이 탁구·배구·농구 등 3개 종목에 참가하여 2일 동안 진행]에 참가하여 남자 배구팀 1등, 여자 배구팀 2등의 성적을 거두었다.
2005년 당시 돈화시 현유진 조선족 학교의 교장은 김명석, 학생은 109명[남 55명, 여 54명], 교직원은 28명[남 16명, 여 12명]이었다. 건축 면적은 870㎡, 운동장은 7,000㎡이었다, 도서 총수는 3,260권[한글본 2,440권, 중국어본 820권]이었다.
2011년 현재 교장은 오종익이다, 학교 건축 면적은 870㎡, 부지 면적은 15,600㎡이다. 돈화시에서 유일한 농촌 소수 민족 학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