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문시 장안진 중심 소학교

한자 圖們市 長安鎮 中心 小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 장안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학교
개교 시기/일시 1934년 4월
개칭 시기/일시 1946년~1958년
개칭 시기/일시 1963년~1966년
개칭 시기/일시 1983년 12월
개칭 시기/일시 1988년 9월
개칭 시기/일시 1996년 3월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이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이후
최초 설립지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 장안진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 장안진에 있던 조선족 소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도문시 장안진 중심 소학교의 교육 목표는 학교, 사회 및 가정을 연합하여 민족의 우수한 전통과 미덕을 갖춘 후손 양성이다.

변천

도문시 장안진 중심 소학교는 1934년 4월 위자촌과 장신촌 촌민들이 설립한 가남 소학교에서 출발하였다. 당시 교장은 장홍만이었으며, 교사는 3명, 학생은 49명이었다. 3년 뒤인 1937년 사립에서 공립으로 발전하였다.

본교는 지리적으로 철도 주변에 위치한 마을 학생들이 통학하기에 편리하였으므로 1944년 학생 수가 213명, 교사 수가 13명으로 늘어났다. 그 후 1946년부터 1958년까지는 연길현 제1구 중심 완전 소학교로 불렸으며, 1959년 인근의 한족 학교와 통합하여 민족 연합 학교로 운영되었다.

1963년부터 1966년까지는 연변 사범 학교 제2 부속 소학교로 학교명을 고쳤다.

1983년 12월 원래의 민족 연합 학교에서 분리하여 단일한 조선족 학교가 되었다.당시 학교명은 용정현 장안향 제1 중심 소학교로, 학교 규모는 학생 240명, 교사 23명이었다.

1988년 9월 교명을 도문시 장안진 제1 중심 소학교, 1996년 3월 도문시 장안진 중심 소학교로 고쳐 불렀다. 그 후 인근의 장상촌 학교가 본교에 통합됨으로써 마반산 학교 고급학년 학생들이 본교로 통학하였다.

교육 활동

도문시 장안진 중심 소학교는 교육의 질을 특히 강조하여 열악한 환경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교학 교수 연구를 계속하여 9년제 의무교육 검사에 무사히 통과하였다. 또한 학교와 사회 및 가정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한 결과 시급 문명 학교, 우수 학부모 학교, 위생 우수 학교 등 여러 가지 표창을 받았다.

본교는 개교 이후 1998년경까지 63년 동안 운영되면서 60회에 걸쳐 2,62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현황

1998년 당시 도문시 장안진 중심 소학교 교장은 곽재홍이었으며, 학생은 196명[남 99명, 여 97명, 한족 4명], 교직원 23명[남 14명, 여 9명]이었다. 건축 면적은 730㎡이었다. 도서 총수는 1,536권[한글본 1490권, 중국어본 46권]이었다.

학교는 1990년대 말에 시작된 농촌 조선족 학교 통폐합에 따라 2008년 현재 폐교되었다.

참고문헌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 『중국조선족학교현황지』(연변교육출판사. 2005)
  • 『연변조선족자치주 교육지(1989~2006)』(연변조선족자치주교육국 편, 2008)
  • 길림성민족교육망(http://www.jlmj.net)
  • 도문시 교육 정보 네트워크(http://www.tmedu.net)
  • 동북조선족교육과학연구소(http://www.dbcjyky.net)
  • 연변 교육 정보 네크워크(http://www.ybedu.net)
  • 중국 조선족 중소 학교 교육 교학 자원넷(http://www.koreannet.cn)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