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高奴子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관료 |
|---|---|
| 성별 | 남 |
| 활동 시기/일시 | 293년 |
| 활동 시기/일시 | 296년 |
고구려봉상왕(烽上王) 때의 관료.
293년(봉상왕 2)에 선비족의 일파인 모용부(慕容部)의 모용외(慕容廆)가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이때 고노자는 북부의 소형(小兄)이었는데, 기병 500명을 지휘하여 적을 물리치고 승리를 거두었다. 그 전공을 인정받아 소형(小兄)에서 대형(大兄)으로 관등이 올랐고, 식읍(食邑)으로 곡림(鵠林)을 받았다.
그 후 296년에 모용외는 다시 고구려를 침범하였고, 수도권까지 들어와 서천왕의 능묘를 파헤치기도 하였다. 이때 뛰어난 국상(國相)이었던 창조리(倉助利)가 고노자를 추천하여 신성(新城)[무순시 북쪽 고이 산성]의 태수로 삼았다. 고노자는 신성의 백성들을 잘 다스리고, 군사력을 강화시켜 선비족의 공격을 방어하여 모용외가 다시는 고구려를 침입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