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활룡 고분군

한자 下活龍 古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마선향 하활룡촌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고분군
양식 돌무지무덤
크기 동서 1㎞, 남북 1.5㎞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77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2
소재지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마선향 하활룡촌
정의

중국 길림성 집안시 마선향 하활룡촌에 있는 고구려 고분군.

위치

통구 하구 연안 압록강 지류를 따라 약 8㎞를 내려가면 마선향 상활룡촌이 나온다. 다시 8㎞를 하행하면 하활룡촌이다. 이 두 마을은 주위에는 모두 고구려 시기의 고분이 분포한다. 하활룡촌 고분군은 하활룡촌 남쪽 구릉지 위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하활룡 고분군과 관련하여 1977년 겨울 집안현 문물보사대(文物普査隊)가 상활룡촌과 하활룡촌 두 곳의 묘군에 대해 조사를 진행했다. 1982년 5월 노호초 수력 발전소(老虎哨水電站工程) 건설과 함께 압록강 연안 수몰 구역인 상활룡촌 고분군·하활룡촌 고분군에 대한 발굴을 진행하였다. 이 때 하활룡촌 고분군에서 확인된 고분은 모두 34기로 돌무지무덤이었다.

형태

하활룡 고분군의 확인된 34기는 모두 돌무지무덤으로 묘광의 크기에 따라 2종류로 분류한다. Ⅰ식은 모두 29기로 주변 길이 8~15m 사이이다. Ⅱ식은 5기며 길이는 3~6m 사이이다. 조영 방식은 서로 같지만 Ⅱ식의 규모가 특별히 작다. 일반적으로 매장 공간은 길이가 0.8~1.1m, 넓이가 0.25~0.6m 전후이다.

출토 유물

하활룡 고분군의 부장 유물은 Ⅰ식묘 중에서 출토된 것은 유리 구슬 장식(瑪瑙珠), 사이호(陶罐), 그물추, 가락바퀴, 동제 단추 장식(銅泡), 고리자루칼(環首鐵刀), 철제 도끼, 철제 낫(鐵鐮刀), 철제 허리띠장식(鐵帶飾) 등이 출토되었다. 하활룡 적석묘 안에서 출토된 철기는 대다수가 한대(漢代)의 기물에 속한다. 낙양 소구 한묘(燒溝漢墓), 하북 만성 한묘(滿城漢墓)에서 출토된 철기와 기본적으로 서로 같다. 토기는 모두 수제(手制)이며 비교적 이른 시기의 고구려식 토기도 출토되었다.

현황

하활룡 고분군은 1982년 5월 노호초 수력 발전소(老虎哨水電站工程) 건설로 모두 수몰되었다.

의의와 평가

하활룡 고분군은 묘장의 형태 및 출토품에 근거하여 보면 하활룡 묘군의 하한은 한나라 말기로 추정된다. 이 시기 고구려 철기 및 토기 문화의 양상을 알려주는 고분이다. 돌무지무덤 역시 원형, 방형 등 정형성을 갖추지 못하였으며, 매장부의 위치가 분구 안 혹은 지표에 있기도 하다. 일부의 묘광은 그 규모가 너무 작아 2차장의 습속이나 어린 아이의 무덤일 가능성도 있다.

참고문헌
  • 集安縣文物保管所, 「集安縣上·下活龍村高句麗古墓淸理簡報」( 『文物』 1期, 1984)
  • 『吉林集安高句麗墓葬報告集』,(科學出版社, 2009)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 吉林分冊(中國地圖出版社, 1993)
  • 孙仁杰·迟勇, 『集安高句麗墓葬』(香港亞洲出版社, 2007)
  • 강현숙·백종오·여호규 외,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유물 1-압록강 중상류편』,(동북아역사재단, 2011)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