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下龍頭村 古墳群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중국 길림성 통화시 통화현 대도령향 하룡두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분군 |
|---|---|
| 양식 | 방단 적석총, 봉토 석실분 |
| 크기 | 길이 약 400m, 넓이 약 30m |
| 문물|보호단위등급 | 현 문물 보호 단위(縣文物保護單位)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59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5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5년 11월 |
| 소재지 | 중국 길림성 통화시 통화현 대도령향 하룡두촌 |
| 모형 전시처 | 중국 길림성 통화시 통화현 대도령향 하룡두촌 |
중국 길림성 통화시 통화현 대도령향 하룡두촌(下龍頭村)에 있는 고구려 고분군.
하룡두촌 고분군은 혼강 중류의 통화현 대도령향 하룡두촌 북쪽 300m 되는 곳에 위치하는데, 혼강 우안의 대지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의 지세는 광활하고 경사도는 비교적 완만하다. 그 맞은편 해안은 통화시 강연(江沿) 5대와 6대로 남두둔(南頭屯) 고분군과 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본다. 고분군이 있는 곳의 대지는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게 나타나며, 고분군의 분포는 남북 길이 약 400m, 동서 넓이 약 30m의 범위 내에 있다.
하룡두촌 고분군 중간에는 현재 한 줄기의 수로(水路)가 남쪽에 북향하여 중간을 관통하고 있으며, 고분군 남쪽에 있는 이 수로의 구간이 갈라져서 각 고분군을 3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있는데 서쪽에 34기, 도로의 동쪽에 10기, 갈림길 사이에 2기가 있다.
출토 유물이 없어 연대를 판단하기 어려우나 묘의 형태와 결구로 볼 때 연대는 고구려 초기로 추정한다. 묘군은 2005년 현재 46기의 크고 작은 묘가 남아 있다. 다수의 기단 돌무지무덤과 소수의 돌방무덤이 있는데 규모는 그리 크지 않으며, 각 변의 길이가 4~6m 사이이다.
하룡두촌 고분군은 1985년 조사 당시 발견된 고분 중 17기 정도만이 비교적 상태가 양호하였으며 대다수의 고분은 마을 서쪽에 집중되어 있었고, 고분군 북단의 고분은 몇 기의 현대 분묘와 혼재되어 있었다. 2005년 조사 당시에 46기의 고분이 확인되었으며 남북 방향으로 포장된 도로가 고분군의 중앙을 통과하면서 고분군을 세 부분으로 분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