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 고성

한자 臨城 古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길림성 백산시 임강시 임강진 임강촌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성곽
양식 산성
문물|보호단위등급 시급 중점 문물 보호 단위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3년
문물 지정 일시 1984년 3월 8일
현 소재지 길림성 임강시 임강진 임성 8대
원소재지 길림성 임강시 임강진 임성 8대
정의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백산시(白山市) 임강시(臨江市) 임강진(臨江鎭) 임성(臨城) 8대(隊)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성.

위치

임성 고성은 길림성 임강시 임강진 동쪽 5㎞ 거리에 있는 임성 8대 북쪽 언덕에 위치해 있다. 임강과 대호(大湖) 탄광을 잇는 철도가 마을을 통과하고 있다. 마을의 동북쪽에서 흘러들어온 삼도구하(三道溝河)가 남쪽을 지난 다음, 고성이 위치한 산기슭 아래에서 활모양으로 성의 동, 남, 서를 휘감아 돌아서 다시 방향을 꺾어 남쪽으로 흐르다가 임성촌 부근에서 압록강에 합류한다.

임성 고성이 있는 산언덕은 주변에 비해 200m 정도 높은데, 누워 있는 소처럼 우뚝 솟아 삼도구 연안 골짜기를 가로막고 있다. 성에 올라서면 서쪽으로 임강진, 남쪽으로 임강, 장백 도로, 동쪽으로 삼도구 골짜기 등이 한눈에 들어오며 북쪽으로는 양목정자(楊木頂子) 산맥이 펼쳐져 있다.

형태

임성 고성이 위치한 곳은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지형이며, 성 내부는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다. 동벽 바깥은 가파른 낭떠러지이고 북벽과 서벽 바깥은 높이 3~5m 정도의 벼랑이다. 남벽 바깥으로는 너비 20m, 길이 50m 평탄한 대지가 펼쳐져 있는데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성곽의 평면은 전체적으로 조금 찌그러진 타원형이다. 동벽 바깥은 가파른 절벽이고 북벽과 서벽 바깥은 높이 3~5m 정도의 암벽으로 각 성벽은 이런 자연지세를 이용하여 축조했다. 북벽은 비교적 곧은 편이고 길이 26~27m, 기단부 너비 2m, 윗면 너비 0.5m인데 잔고가 1.3m 정도 된다. 동벽은 길이 8m, 너비 3.5m, 높이 0.7m이다. 남벽은 활 모양으로 휘어져 동벽과 서벽을 잇고 있다. 길이 20m, 높이 1m, 아래 너비 0.5~0.8m 가량 된다. 서벽은 길이가 5m도 안되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서벽 쪽에 너비 1m 정도의 트인 곳이 있는데 성문지로 추정하고 있다.

출토 유물

임성 고성 발굴 당시, 토기조각과 도끼날형 철제 화살촉 등이 채집되었다. 토기조각은 니질회색토기와 황갈색토기 조각으로 비교적 두꺼운 편인데, 토기 형태를 판별하기는 어렵다.

현황

1984년 3월 8일에 혼강시 중점 문물 보호 단위로 지정되었다. 현재 성벽은 많이 허물어져 성 돌을 가지런하게 쌓은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다만 성돌이 대부분 성벽 주변에 무너진 상태로 남아 있어서 성곽의 윤곽을 확인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성곽 안팎에 가시나무가 꽉 들어차 있다.

의의와 평가

임성 고성이 위치한 삼도구하 유역은 압록강, 사도구하(四道溝河), 오도구하(五道溝河) 등 여러 수계(水系)를 연결하던 통로이다. 삼도구하 하류에 있는 임성 고성압록강과 여러 지류 일대의 교통을 공제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다.

참고문헌
  • 吉林省文物志編修委員會, 『渾江市文物志』(1984)
  • 國家文物局 主編,「臨城城址」(『中國文物地圖集-吉林分冊』, 中國地圖出版社, 1993)
  • 王禹浪·王宏北,「中國吉林省渾江市三道溝河臨城八隊高句麗古城址」(『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上)』, 哈爾濱出版社, 1994)
  • 余昊奎,「臨江 臨城古城」(『高句麗 城』Ⅰ(鴨綠江中上流篇), 國防軍事硏究所, 1998)
  • 孙仁杰·迟勇·張殿甲, 「鴨綠江上流右岸考古調査」(『東北史地』2004-5, 2004)
  • 고구려 연구회 편,『고구려 산성 연구』(학연 문화사, 1999)
  • 동북아역사재단 편,『고구려성』(동북아역사재단, 2010)
  • 여호규·강현숙·백종오·김종은·이경미·정동민,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유물Ⅲ 압록강 중상류3 통화-백산·임강-장백』( 동북아역사재단, 2022)
관련항목
이전 TOP